•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환경부 등 관계부처 협조로 빈대 확산 방지와 올바른 빈대 방제 정보 제공을 위한 「빈대 정보집」(개정판*)을 배포한다고 밝혔다. 

  * 이번 개정은 2023년에 10월 25일 빈대 정보집 제정 이후 일부 내용 추가


  최근 해외 및 국내에서 빈대 발생에 대한 보도 및 신고가 증가하고 있어 빈대 존재 여부와 방제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아진 상황이다.


  이번 빈대 정보집 개정(별첨 참고)을 통해 국민들에게 빈대예방과 대응조치에 더욱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➊빈대 확인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마련하고, ➋빈대 의심 신고 및 방제 관련 문의처(한국방역협회 중앙 및 지회) 등을 추가하였다. 아울러 ➌빈대 물림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곤충의 물린 흔적과 비교할 수 있는 사진과 ➍빈대 관련 자주 묻는 질의·답변을 보완하였다. 


  아울러 질병청은 일상생활 속에서 빈대를 확인하는 방법과 발견 시, 물리적 방제와 예방할 수 있는 대응 방안 등 동영상 홍보·교육 자료도 제작하여 배포한다. 


<자주 묻는 빈대 Q&A>


 Q. 빈대가 질병을 퍼뜨리나요?

 ○ 빈대는 질병을 퍼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는 않습니다. 

 ○ 가려움증과 수면 부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가려움증이 과도한 긁힘으로 이어져 2차 피부 감염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Q. 빈대는 어떤 건강 위험을 초래합니까?

 ○ 빈대에 물리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게 영향을 미칩니다. 반응은 물린 부위의 신체적 징후가 없는 것부터 작은 물린 자국,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 빈대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여러 번 물렸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빈대 확산 방지 정부합동대응회의를 통해 주간 단위로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할 예정이며, 다음주부터 4주간(11.13.~12.8.) ‘빈대 집중 점검 및 방제 기간’을 운영하여, 관계 부처 소관 빈대 취약시설에 대한 빈대 발생 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발견 즉시 신속한 방제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지영미 청장은 “질병관리청은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국내 빈대 확산 방지에 적극 대응함과 동시에, 빈대 발생 감시 및 특성분석(종 분류 분석 등)을 실시하고, “빈대 유입경로 추적 및 유입경로에 따른 살충제 저항성 분석 연구 등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에 개정한 빈대 정보집이 일선 현장에서 빈대 예방과 올바른 방제 에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빈대 정보집」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빈대 정보집」 내려받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알림·자료→홍보자료→교육자료→빈대정보집 제2판


* [빈대 홍보 동영상 내려받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질병관리청 2023-11-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4 이제 어린이집도 도시가스요금 할인받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4
763 자해·자살 환자 중 10-20대 비율 10년 새 15%p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0
762 2023년 사회조사 결과(복지, 사회참여,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7
761 학교생활기록부도 모바일에서 받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1
760 공공부문 「스토킹 예방지침 표준안」 최초 마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9 6
759 발작성 기침, 백일해, 추가 접종 서두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9 8
758 버스터미널, 이용객 안전확보를 위한 안전시설 설치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9 12
757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9 9
756 가맹점주 피해 자진 구제 시 과징금 감경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8
» 질병관리청, 「빈대 정보집」 개정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11
754 2023년 3/4분기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9
753 찾아가지 않은 금융자산 “17.9조원”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7
752 건강보험 가입 자립준비청년 의료비 부담 대폭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13
751 질병부담 3위 당뇨병 예방관리,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9
750 11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8
Board Pagination Prev 1 ... 870 871 872 873 874 875 876 877 878 87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