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최근 공동·숙박시설에서 빈대가 출현하여 피해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하여 소관 공동 숙박시설 등에 대한 빈대 관리 및 방제 방안을 안내·홍보하고, 필요 시 점검 관리하는 등 빈대가 확산되지 않도록 관리 강화해줄 것을 협조 요청하도록 조치하였다.

  * 보건복지부, 교육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


  빈대는 감염병을 매개하지 않기에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관리 대상 해충은 아니지만, 인체 흡혈로 인한 수면을 방해하고 가려움증 및 이차적 피부감염증을 유발하는 등 불편을 주는 해충이다. 


  질병관리청은 국민들이 빈대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발견 시 신속·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빈대 예방·대응 정보집*」을 마련하여 누리집에 게재·안내(10.25.)하였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 →알림·자료→홍보자료→교육자료→위생해충 분류군 정보집(빈대)


 또한, 11월 1일부터 공항 출국장과 해외감염병 신고센터에서 영국, 프랑스 등 빈대 발생 국가 출입국자와 해당 국가에서 화물을 수입하는 수입기업을 대상으로 빈대 등 위생해충 예방수칙을 안내·홍보할 계획이다.


  향후, 해외유입 동향을 파악하여 빈대 등 위생해충 예방 홍보 대상 국가를 수시로 조정해나갈 계획이며, 해외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빈대 등 위생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검역소의 구제 업무를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빈대 대응 방안>


1. 빈대에 물렸다면, 우선 물과 비누로 씻고 증상에 따른 치료법 및 의약품 처방은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 사람마다 반응 시간(잠복기 최대 10일)이 다를 수 있다.


2. 집 또는 공동 숙박시설에 빈대가 있는지 확인한다.

- (직접확인) 침대 매트리스나 프레임, 소파, 책장, 침구류 등 틈새를 살펴본다.


- (흔적) 빈대의 부산물이나 배설물과 같은 흔적을 찾는다.


- (냄새) 노린내 또는 곰팡이 냄새가 나는 지점에서 찾는다.


3. 빈대를 발견한 지점을 중심으로 물리적 방제와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여야 효과적이다.


- (물리적 방제) 

  ① 스팀 고열을 이용하여 빈대 서식 장소에 분사한다.

  ②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침대, 매트리스, 소파, 가구 등 빈대에 오염된 모든 장소를 청소하고, 진공 흡입물은 봉투에 밀봉하여 폐기한다. 

  ③ 오염된 직물(의류, 커튼, 침대커버 등)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 (화학적 방제) 빈대 서식처를 확인한 후 환경부에서 허가한 살충제로 처리한다. (매트리스, 침대 라인 등 직접 접촉 가능한 곳 제외)

   * 가열 연막 또는 훈증 이용 시, 숨어 있던 빈대가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기에 주의 필요


- 빈대에 오염된 장소가 공동·숙박시설일 경우, 동시에 방제한다.


- 방제 후, 빈대가 발견되었던 곳을 다시 확인하여야 하며, 빈대가 발견되면 추가 방제한다.

   * 서식처 주변 및 깊숙한 곳에 있어, 방제가 완전히 되지 않았을 수 있음 

   * 알이 부화되는 시기를 고려하여, 7~14일 후에 서식처 주변을 재확인해야 함


4. 빈대에 오염된 매트리스, 가구 등은 방제 후 재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 만약 폐기할 경우, 반드시 방제 후 폐기*하여야 한다. 

  * 방제 없이 폐기 시, 빈대가 새로운 장소로 확산 및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필요


5. 여행 중 빈대에 노출 경험이 있으면, 여행용품에 대해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 밀봉하여 장시간 보관하거나, 직물류는 건조기에 처리 등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빈대는 질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아니지만, 흡혈로 인해 수면방해와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어 예방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해외 여행 중 빈대 노출이 있을 경우 여행용품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고, 공동숙박 시설에서 빈대 흔적 등을 확인해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빈대를 발견하였을 경우 철저하게 방제를 해야하며, 필요 시 전문가와 상의해 방제에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10-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60 Walker Tape 가발 접착제, 생식독성 및 피부 자극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19.01.31
559 VTech 모빌 완구(2-in-1 Melodienmobiles), 클램프 파손 가능성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06.20
558 VTech 딸랑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5 2018.03.21
557 Vornadobaby 전기히터(Sunny CS Nursery Space Heater), 모터마운트 파손돼 화재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8.03.21
556 Vornado 전기히터(VH101), 과열로 화재나 화상 유발할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6.21
555 VIVO스피커 벽 거치대(Mount-Play5 Speaker Wall Mounts), 선반과 스피커 떨어질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19.09.23
554 USB케이블 온도 상승으로 고장 날 수 있는 Stadler Form Emma 가습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1.06.02
553 URIAGE 기저귀 크림(Bebe 1er Change/1st Change cream), 살균보조제 성분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89 2019.05.16
552 UPPAbaby 유모차 시트(RumbleSeat), 시트 어댑터 분리 현상 발생하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8.06.20
551 Under Armour 야구화,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18.09.06
550 Ultramaxx 믹서기, 사용 중 감전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9.03.12
549 Ultralife 식품보충제,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8.05.17
548 Ultra Glow 미백화장품(Fade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3.21
547 UGG 이불 세트, 곰팡이 발견되어 호흡기 등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8.03.21
546 Twin Go 유아용 아기띠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33 2016.06.27
545 Tuong Ot Sriracha 칠리소스, 복통·식중독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2 2020.05.21
544 TRUSCO 진공청소기 발화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7.01
543 Trotec 전류전압계(BE48),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7.19
542 Trafo 과자, 알레르기 유발 등의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18.04.12
541 Traditional Medicinals 허브차(Throat Coat Lemon Echinacea),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8.06.21
Board Pagination Prev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