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10월 27일(42주차) 현재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주요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트랩지수가 0.91로 평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야외 활동 시 털진드기 물림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털진드기 트랩지수는 털진드기 채집수를 사용한 트랩수로 나눈 값으로 나타냄.

털진드기 발생밀도 감시사업은 8월 넷째주부터 12월 셋째주까지 전국 20개 지역*에서 수행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 주축으로 호남권질병대응센터, 보건환경연구원(강원, 전남, 전북),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센터(14개)에서 감시 수행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할 수 있으며, 물린 자리에 가피(검은 딱지, eschar)가 생기는 특징이 있고,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근육통,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등이 있다.

국내에 쯔쯔가무시균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2년도 감시 결과 주로 남부와 일부 북부에서는 활순털진드기가, 중부 및 서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대표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붙임2 참고).
 * 활순털진드기(Leptotrombidium scutellare), 대잎털진드기(L. pallidum), 수염털진드기(L. palpale), 동양털진드기(L. orientale), 반도털진드기(L. zetum), 사륙털진드기(Neotrombicula japonica), 조선방망이털진드기 (Euschoengastia koreaensis), 들꿩털진드기(Helenicula miyagawai)

또한 털진드기가 40주부터 42주차(9월말~10월초)에 증가하기 시작하며, 환자는 43주부터 시작하여 47주차(10월말)까지 큰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추수기 및 가을 단풍철에 털진드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음에 따라,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위험환경 노출을 최소화해줄 것”을 당부하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는 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소매 옷 및 긴 바지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잘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쯔쯔가무시균 감염 초기에는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기에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며, 야외활동 후 진드기에 물린 자국(가피)이 관찰되거나, 10일 이내 발열·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갖춰입기
   * 밝은 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중

 -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후

 - 귀가 즉시 옷은 털어 세탁하기 
 - 샤워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 의심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질병관리청 2023-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51 ‘로타바이러스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18.01.19
3650 2017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1.22
3649 고무풍선 입으로 불거나 빨면 안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1.23
3648 12세 여학생 세 명 중 두 명이 받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방학 때 미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01.24
3647 취업컨설팅 서비스, 계약 관련 소비자불만 많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1.24
3646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8.01.25
3645 감비아·세네갈 등 아프리카 위험지역 방문 시 리프트밸리열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01.26
3644 향초·인센스 스틱 사용시 실내 공기 오염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0 2018.01.26
3643 전기·가스 점검으로 우리집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8.01.26
3642 해외 직구 시 리콜제품 여부 확인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8.01.29
3641 2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8.01.30
3640 내 주변 안전, 확인하기 더욱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18.01.30
3639 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설치 확대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18.01.31
3638 스키장 이용시 안전모 등 보호장구 착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8.01.31
3637 3월 초등학교와 중학교 입학 예정 어린이, 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01.31
3636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2.01
3635 공유숙박 플랫폼 계약 취소시, 위약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8.02.01
3634 겨울방학 후 개학으로 학생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 조기치료와 개인위생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18.02.02
3633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18.02.02
3632 고층건물에 설치된 노인요양시설, 긴급피난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8.02.02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