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 질환 관련 심정지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관심이 커지면서* 지하철역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시설에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설치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서울‧경기 지하철역 중 승‧하차 이용객 수 상위 30개소의 AED 설치 및 관리 실태를 조사했다.
* 10만명당 급성심정지 발생 현황 : (‘19년)60.0명 → (‘20년)61.6명 →  (‘21년)64.7명(’21 급성심장정지조사, 질병관리청)
** 자동심장충격기(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전기충격을 심장에 보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떨려 제대로 된 심장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 ‘세동’을 제거하는 응급의료기기

☐ AED 설치 여부 및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심정지 발생 시에는 골든타임(4분) 내에 최대한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하철역 출입구에는 해당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설치안내표시’를, 역내에는 AED 위치를 찾기 쉽게 ‘유도안내판’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지하철역 출입구 282개 중 129개(45.7%)에는 AED 설치안내 표시가 없어 외부에서는 해당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역내의 경우, 조사대상 30개소 모두 출입구로부터 대합실까지 이동통로에 유도안내판을 부착했다. 그러나, 6개소(20.0%)는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계단・에스컬레이터에, 환승역 24개소 중 12개소(50.0%)는 환승통로에 유도안내판을 부착하지 않아 AED 설치 위치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컸다.

☐ 응급의료포털(E-gen)*상 일부 AED 위치・상태정보 미흡 또는 누락

  소비자는 응급의료포털(E-gen)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 앱을 통해 AED 설치 유무 및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AED 157대 중 27대(17.2%)에 대한 정보가 누락됐거나 설치장소 등이 실제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처(관할 보건소)에 신고된 AED의 위치‧상태 등을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정보 제공하는 사이트

☐ AED의 정확한 설치 위치 안내 시 골든타임 내 AED 이용 가능

  조사대상 지하철역(30개소)에는 총 157대의 AED가 설치되어 있었다. 역내에서 심정지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여 역별로 AED로부터 가장 먼 출입구와 승강장 2곳씩 총 60개 지점에서 AED까지 소요시간을 계산한 결과, 모든 역에서 골든타임(4분*) 내에 AED의 운반이 가능했다.
* 심정지 발생 후 적절한 처치 없이 4~5분 이상 경과 시 뇌손상 발생(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하지만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는 AED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 유효한 만큼, 위급 상황 발생 시 현장 주변에 AED의 설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안내표시 및 유도안내판의 부착을 강화하고 응급의료포털(E-gen) 상 등록 정보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 지하철역, AED 설치의무시설로 지정해 설치 확대 및 관리 강화해야

  현행법상 공항,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AED 설치가 의무화돼 있으나, 출퇴근 등 특정 시간에 인파가 몰리는 지하철역의 경우 의무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00명(만 20~49세)에게 설문조사 결과, AED 설치 의무시설이 아닌 곳 중 AED의 설치가 필요한 시설로 ‘지하철역’을 꼽은 응답자(483명, 96.6%)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노인복지시설(479명, 95.8%)’, ‘백화점‧대형마트(457명, 9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철 역사 내의 AED 설치를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을 AED 설치 의무시설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하철역의 AED 설치 의무화 등에 대한 검토를 요청했다.

   또한 조사대상 지하철역 관리 주체에게는 지하철역 출입구 설치시설표시 및 역사 내 유도안내판 부착 강화를 권고했고, 현재 지하철역별로 조치를 완료했거나 조치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 한국소비자원 2023-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40 직영주차장 무료이용 등 추석연휴 국립공원 이용 지원 대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7
11839 직업계고 입학부터 취업까지, 모든 정보는「하이파이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9 54
11838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1837 직거래장터에서 제수용품 저렴하게 구입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7
11836 직거래를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기반 마련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1 70
11835 직거래 여부·중개사 소재지 등 실거래가 정보 공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1 17
» 지하철역 AED 설치 여부와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7 6
11833 지하철 승강장 초미세먼지 농도, 쉽게 확인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21
11832 지하철 디지털 성범죄, 빅데이터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6 14
11831 지하철 2호선,‘통장매매 등’불법금융예방 동영상 방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31 53
11830 지하역사 미세먼지, 엄격하게 관리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5
11829 지하수 미등록시설 자진신고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14
11828 지하수 무료 수질검사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67
11827 지폐투입구가 돌출된 자동판매기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8 91
11826 지카바이러스 정확히 알고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9 103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