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 질환 관련 심정지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관심이 커지면서* 지하철역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시설에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설치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서울‧경기 지하철역 중 승‧하차 이용객 수 상위 30개소의 AED 설치 및 관리 실태를 조사했다.
* 10만명당 급성심정지 발생 현황 : (‘19년)60.0명 → (‘20년)61.6명 →  (‘21년)64.7명(’21 급성심장정지조사, 질병관리청)
** 자동심장충격기(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전기충격을 심장에 보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떨려 제대로 된 심장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 ‘세동’을 제거하는 응급의료기기

☐ AED 설치 여부 및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심정지 발생 시에는 골든타임(4분) 내에 최대한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하철역 출입구에는 해당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설치안내표시’를, 역내에는 AED 위치를 찾기 쉽게 ‘유도안내판’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지하철역 출입구 282개 중 129개(45.7%)에는 AED 설치안내 표시가 없어 외부에서는 해당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역내의 경우, 조사대상 30개소 모두 출입구로부터 대합실까지 이동통로에 유도안내판을 부착했다. 그러나, 6개소(20.0%)는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계단・에스컬레이터에, 환승역 24개소 중 12개소(50.0%)는 환승통로에 유도안내판을 부착하지 않아 AED 설치 위치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컸다.

☐ 응급의료포털(E-gen)*상 일부 AED 위치・상태정보 미흡 또는 누락

  소비자는 응급의료포털(E-gen)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 앱을 통해 AED 설치 유무 및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AED 157대 중 27대(17.2%)에 대한 정보가 누락됐거나 설치장소 등이 실제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처(관할 보건소)에 신고된 AED의 위치‧상태 등을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정보 제공하는 사이트

☐ AED의 정확한 설치 위치 안내 시 골든타임 내 AED 이용 가능

  조사대상 지하철역(30개소)에는 총 157대의 AED가 설치되어 있었다. 역내에서 심정지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여 역별로 AED로부터 가장 먼 출입구와 승강장 2곳씩 총 60개 지점에서 AED까지 소요시간을 계산한 결과, 모든 역에서 골든타임(4분*) 내에 AED의 운반이 가능했다.
* 심정지 발생 후 적절한 처치 없이 4~5분 이상 경과 시 뇌손상 발생(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하지만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는 AED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 유효한 만큼, 위급 상황 발생 시 현장 주변에 AED의 설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안내표시 및 유도안내판의 부착을 강화하고 응급의료포털(E-gen) 상 등록 정보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 지하철역, AED 설치의무시설로 지정해 설치 확대 및 관리 강화해야

  현행법상 공항,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AED 설치가 의무화돼 있으나, 출퇴근 등 특정 시간에 인파가 몰리는 지하철역의 경우 의무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00명(만 20~49세)에게 설문조사 결과, AED 설치 의무시설이 아닌 곳 중 AED의 설치가 필요한 시설로 ‘지하철역’을 꼽은 응답자(483명, 96.6%)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노인복지시설(479명, 95.8%)’, ‘백화점‧대형마트(457명, 9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철 역사 내의 AED 설치를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을 AED 설치 의무시설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하철역의 AED 설치 의무화 등에 대한 검토를 요청했다.

   또한 조사대상 지하철역 관리 주체에게는 지하철역 출입구 설치시설표시 및 역사 내 유도안내판 부착 강화를 권고했고, 현재 지하철역별로 조치를 완료했거나 조치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 한국소비자원 2023-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화장비누.흑채.제모왁스 화장품 전환에 따른 제도적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2 98
199 화장솜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1 38
198 화장실 남녀분리는 의무예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4 67
197 화장실·발코니에서의 흡연에 따른 ‘담배연기 갈등’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81
196 화장실용 화장지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8 23
195 화장품 가격 및 소비실태 조사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20
194 화장품 겉포장·샘플에도 사용기한 표시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3 252
193 화장품 과징금 분할납부 및 납부기한 연장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66
192 화장품 관련 소비자피해, 계약·품질 등의 순으로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5 12
191 화장품 구입, 계약해지·청약철회 관련 피해가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76
190 화장품 사용후기, 알고보니 위장 광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0 148
189 화장품 샘플을 정품으로 광고한 롯데홈쇼핑 제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243
188 화장품 수출하기 전 해외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87
187 화장품 안전은 강화하고 규제는 개선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8 121
186 화장품 용기,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8 108
Board Pagination Prev 1 ...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