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 질환 관련 심정지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관심이 커지면서* 지하철역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시설에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설치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서울‧경기 지하철역 중 승‧하차 이용객 수 상위 30개소의 AED 설치 및 관리 실태를 조사했다.
* 10만명당 급성심정지 발생 현황 : (‘19년)60.0명 → (‘20년)61.6명 →  (‘21년)64.7명(’21 급성심장정지조사, 질병관리청)
** 자동심장충격기(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전기충격을 심장에 보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떨려 제대로 된 심장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 ‘세동’을 제거하는 응급의료기기

☐ AED 설치 여부 및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심정지 발생 시에는 골든타임(4분) 내에 최대한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하철역 출입구에는 해당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설치안내표시’를, 역내에는 AED 위치를 찾기 쉽게 ‘유도안내판’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지하철역 출입구 282개 중 129개(45.7%)에는 AED 설치안내 표시가 없어 외부에서는 해당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역내의 경우, 조사대상 30개소 모두 출입구로부터 대합실까지 이동통로에 유도안내판을 부착했다. 그러나, 6개소(20.0%)는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계단・에스컬레이터에, 환승역 24개소 중 12개소(50.0%)는 환승통로에 유도안내판을 부착하지 않아 AED 설치 위치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컸다.

☐ 응급의료포털(E-gen)*상 일부 AED 위치・상태정보 미흡 또는 누락

  소비자는 응급의료포털(E-gen)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 앱을 통해 AED 설치 유무 및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AED 157대 중 27대(17.2%)에 대한 정보가 누락됐거나 설치장소 등이 실제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신고처(관할 보건소)에 신고된 AED의 위치‧상태 등을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정보 제공하는 사이트

☐ AED의 정확한 설치 위치 안내 시 골든타임 내 AED 이용 가능

  조사대상 지하철역(30개소)에는 총 157대의 AED가 설치되어 있었다. 역내에서 심정지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여 역별로 AED로부터 가장 먼 출입구와 승강장 2곳씩 총 60개 지점에서 AED까지 소요시간을 계산한 결과, 모든 역에서 골든타임(4분*) 내에 AED의 운반이 가능했다.
* 심정지 발생 후 적절한 처치 없이 4~5분 이상 경과 시 뇌손상 발생(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하지만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는 AED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 유효한 만큼, 위급 상황 발생 시 현장 주변에 AED의 설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안내표시 및 유도안내판의 부착을 강화하고 응급의료포털(E-gen) 상 등록 정보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 지하철역, AED 설치의무시설로 지정해 설치 확대 및 관리 강화해야

  현행법상 공항,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AED 설치가 의무화돼 있으나, 출퇴근 등 특정 시간에 인파가 몰리는 지하철역의 경우 의무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00명(만 20~49세)에게 설문조사 결과, AED 설치 의무시설이 아닌 곳 중 AED의 설치가 필요한 시설로 ‘지하철역’을 꼽은 응답자(483명, 96.6%)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노인복지시설(479명, 95.8%)’, ‘백화점‧대형마트(457명, 9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철 역사 내의 AED 설치를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을 AED 설치 의무시설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하철역의 AED 설치 의무화 등에 대한 검토를 요청했다.

   또한 조사대상 지하철역 관리 주체에게는 지하철역 출입구 설치시설표시 및 역사 내 유도안내판 부착 강화를 권고했고, 현재 지하철역별로 조치를 완료했거나 조치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 한국소비자원 2023-10-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5 지역별 맞춤형 교육지원 혜택도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7 23
2074 지역별 신체활동 줄고 개인위생 크게 개선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1 22
2073 지역별 탄소배출·흡수량 한눈에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1
2072 지역사랑상품권 부정유통 하반기 전국 일제단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6 10
2071 지역사랑상품권 불법 환전, 과태료 최대 2천만원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4 10
2070 지역사랑상품권 불법환전 가맹점 최대 2천만원, 법 위반행위 조사 거부ˑ방해자 최대 5백만원 과태료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30 54
2069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영세 소상공인 중심으로 바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2 5
2068 지역사랑상품권 신속집행으로 지역경제 빠른 회복에 힘 보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9 10
2067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4 52
2066 지역사회건강조사 2023년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9 8
2065 지역아동센터, 미취업 청년에게 일·경험 기회 제공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3 23
2064 지역에 특별한 역사적 기념일 지자체 공휴일로 지정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6 25
2063 지역주민 맞춤형 건강정책을 수립할 건강조사 16일부터 전국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6 4
2062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도시계획 체계를 정부가 지원하겠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0 9
2061 지역주택조합원 모집 관련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7 54
Board Pagination Prev 1 ...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