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문적인 결혼중개 서비스를 이용해 배우자감을 찾는 수요가 늘면서 관련 소비자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계약 해지 시 자체 약관을 근거로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등의 부당한 사례가 많아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대구광역시가 2022∼2023년 공동으로 대구지역 국내결혼중개 사업자의 표준약관 준수 여부 등을 현장 조사해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관을 개선하도록 권고했다.

☐ 국내결혼중개업 소비자피해 매년 증가... 400만 원 이상 고액 피해 늘어나

  한국소비자원에 2020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접수된 국내결혼중개업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083건으로, 2021년에는 전년 대비 24.9% 증가한 321건이 접수됐다. 수도권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국내결혼중개 사업자*가 영업 중인 대구지역의 2021년 피해 증가율은 53.3%로 전국 평균보다 28.4%p 높았다.
 * 국내결혼중개 사업자 현황 : 대구 71개, 경남 56개, 부산 48개, 전북 46개, 광주 43개(’23. 8월말 기준, 여성가족부) 

소비자의 성별은 남성 59.9%(649건), 여성 40.1%(434건)로 남성의 비중이 더 높았고, 피해 연령은 ‘30대’가 41.5%(449건)로 가장 많았으며, 40대(28.4%, 308건), 50대 (11.9%, 129건) 등의 순이었다.

  계약금액별로는 ‘200 ~ 400만 원 미만’이 절반에 가까운 45.6%(494건)였고, 다음으로 ‘200만 원 미만’ 32.1%(348건), ‘400 ~ 600만 원 미만’ 13.4%(145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2023년 상반기에는 400만 원 이상 고액의 계약금액 피해가 33.5%(60건)로 전년 동기(28건)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0명 중 7명은 계약 해지 거부 및 위약금 관련 피해

  피해구제 신청이유는 ‘계약해제‧해지 거부 및 위약금’ 관련 내용이 68.1%(737건)로 가장 많았고, ‘계약불이행’ 20.6%(223건), ‘품질불만’ 4.2%(46건) 등의 순이었다. 대구지역 역시 계약 해지 거부 및 위약금 관련 피해가 70.8%(46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계약해제‧해지 거부 및 위약금(737건)’ 관련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도해지 요구 시 사업자가 자체 약관을 이유로 ▲ 해지·환급을 거부하거나 ▲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등 환급금과 관련된 분쟁이 주를 이루었다.

아울러 대구지역 피해구제 신청 65건 중 계약서가 확인된 52건의 환급약관을 분석한 결과, 78.8%(41건)가 표준약관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환급의 기준이 되는 거래조건(횟수제 또는 기간제)을 명확히 기재하지 않거나, 해지 시 환급금을 줄이고자 구두로 설명한 내용과 다르게 계약서를 작성하여 분쟁이 발생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 대상 사례 중 55.8%(29건)가 환급기준이 되는 거래조건을 부정확하게 기재

☐ 한국소비자원-대구광역시 소비자피해 예방 위해 국내결혼중개업 공동 현장점검 실시

  한국소비자원 대구·경북지원과 대구광역시는 최근 2년간(2022~2023년) 공동으로 대구지역 73개 결혼중개업 사업자를 현장 방문하여 이용약관 및 홈페이지 정보제공 실태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57개(78.1%) 사업자가 현행 표준약관에 비해 위약금을 과다하게 부과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내용의 약관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24개 사업자 중 관련 법에 따른 게시사항을 모두 준수한 곳은 단 4개(16.7%) 사업자에 불과했으며, 20개(83.3%) 사업자는 수수료‧회비, 보증보험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절차 등 일부 사항을 누락했다.

*「결혼중개업법」상 결혼중개업자는 상호‧대표자, 신고/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주소‧전화번호, 수수료‧회비, 결혼중개업 이용약관, 보증보험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절차 등 7개 항목을 홈페이지에 게시해야 함. 

☐ 대구지역 사업자의 표준약관 사용률을 89.5%로 높이자 소비자피해는 25.0% 감소

  한국소비자원과 대구광역시는 현장점검과 사업자 간담회를 통해서 표준약관보다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작성된 약관의 개선과 홈페이지 정보제공 의무를 충실히 이행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표준약관을 사용하지 않은 57개 사업자 중 51개(89.5%) 사업자가 권고를 수용해 약관을 개정했다. 홈페이지 정보제공이 미흡한 20개 사업자 중에서는 16개(80.0%) 사업자가 홈페이지를 개선했다.

  한편,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대구지역 국내결혼중개업 관련 소비자피해는 사업자 개선 권고를 시작한 2022년부터 감소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23년 상반기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 및 피해구제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1%(19건) 및 25.0%(3건) 감소했다. 이는 대구지역 사업자의 표준약관 사용 확대 및 거래환경 개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계약 시 환급 규정 확인하고 가급적 표준약관 준수 사업자 이용해야 


  한국소비자원과 대구광역시는 결혼중개업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서 ▲ 계약 전 사업자 정보를 확인할 것, ▲ 계약서의 거래조건(횟수제/기간제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할 것, ▲ 표준약관의 환급기준과 비교하여 부당한 환급조항이 있는지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과 대구광역시는 앞으로도 사업자의 이행 실태를 모니터링하고 소비자 피해예방 캠페인 등을 통해 국내결혼중개업 관련 소비자피해 감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3-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40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이 검출된 무신고 수입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9.05
3839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위생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09.06
3838 임산부의류 인터넷 쇼핑몰‘꼰지잼잼’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2 2017.09.06
3837 레지오넬라증 증가 추세 지속, 환경관리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8 2017.09.06
3836 육교 승강기, 관리감독 안되고 안전성도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3 2017.09.07
3835 야생버섯 채취가 많은 9월, 독버섯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09.07
3834 가을철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7.09.14
3833 잔류농약 기준초과 검출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7.09.14
3832 피부에 바르는 항생제,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7 2017.09.14
3831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지 안전성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9.14
3830 벌초 작업 중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17.09.14
3829 2017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09.18
3828 2017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7.09.18
3827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9.18
3826 어린이들은 신맛캔디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안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7.09.20
3825 대구·경북지역 유사콘도회원권 소비자피해 지속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7.09.20
3824 1인 미디어(인터넷 개인방송), 불합리한 거래조건 많고 미성년자 보호장치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4 2017.09.20
3823 고향 가는 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7.09.21
3822 수입 부적합 중국산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7.09.22
3821 추석연휴 기간 ‘철도역사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7.09.25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