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전화·문자금융사기(보이스피싱·스미싱)’ 관련 민원 분석 결과, 스마트폰 인증 보안 취약점으로 인한 금융사기 피해, 피해 의심 제보 대응 미흡 등으로 인한 국민 불편 사항을 확인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 인증절차 강화, 피해 의심 제보 대응 개선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국민권익위)가 최근 3년간(2020.10.~2023.9.) 민원분석시스템에 수집된 민원을 분석한 결과, ‘전화·문자 금융사기’ 관련 민원은 총 55,430건이 발생했다.

   * 국민신문고, 지방자치단체 민원창구 등에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Big-Data)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기 위한 국민권익위의 범정부 민원분석시스템

   국민권익위는 ‘전화·문자금융사기’ 관련 개선이 필요하다는 민원 예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개선을 요청했다.

□ ‘전화·문자금융사기’와 관련된 주요 민원으로는 ▴스마트폰 인증 보안 취약점으로 인한 금융사기 피해 ▴피해 예방을 위한 담당 기관의 대응 개선 요청 ▴담당자와의 소통 및 사건 처리 상황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 이와 함께 국민권익위는 지난 한 달 동안 민원분석시스템에 수집된 9월 민원 빅데이터 동향을 발표했다.

   올해 9월 민원 발생량은 약 132만 건으로, 전월(142만 6,780건) 대비 7.2% 감소하고 전년 같은 달(112만 2,160건) 대비 18.0% 증가했다.


전월 대비 민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및 이륜차 불법행위 신고’ 등으로 인해 전월 대비 8.3% 증가했다.


   기관 유형별로는 전월과 비교해 중앙행정기관(11.9%), 지자체(1.8%),  교육청(26.9%), 공공기관(26.9%) 민원이 감소했다.


중앙행정기관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원이 증가했다. 발달지연아동에 대한 국가 지원 및 간담회 진행 요청 민원 등 총 124건이 발생해 전월보다 2,380.0% 증가했다.


   전월 대비 민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자체는 경기 남양주로, 평내호평에 하수처리 시설 신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동 인근에 대규모 신설 계획 추진 반대 민원 등 총 17,332건(61.9% 증가)이 발생됐다.


교육청에서는 전북교육청에 무녀도초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 학교장에 대한 직위해제 및 감사 요구 민원(45건) 등이 발생해 전월 대비 20.9% 증가했다.

   공공기관에서는 국가철도공단에 구리 갈매지구 GTX-B노선의 환경영향평가 재실시 요구(600건) 민원이 발생해 전월 대비 264.1%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 국민권익위는 민원예보 업무혁신을 통하여 민원데이터뿐만 아니라 외부 언론데이터 등을 융복합한 결과를 분석하여 민원예보를 발령하고 있다.

   국민 누구나 언제든지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민원빅데이터 동향「국민의 소리」를 비롯한 각종 민원분석 자료를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bigdata.epeople.go.kr)’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3-10-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60 추석연휴 기간 ‘철도역사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7.09.25
559 수입 부적합 중국산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7.09.22
558 고향 가는 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7.09.21
557 1인 미디어(인터넷 개인방송), 불합리한 거래조건 많고 미성년자 보호장치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4 2017.09.20
556 대구·경북지역 유사콘도회원권 소비자피해 지속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7.09.20
555 어린이들은 신맛캔디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안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7.09.20
554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09.18
553 2017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7.09.18
552 2017년 6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7.09.18
551 벌초 작업 중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17.09.14
550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지 안전성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9.14
549 피부에 바르는 항생제,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7 2017.09.14
548 잔류농약 기준초과 검출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7.09.14
547 가을철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7.09.14
546 야생버섯 채취가 많은 9월, 독버섯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09.07
545 육교 승강기, 관리감독 안되고 안전성도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3 2017.09.07
544 레지오넬라증 증가 추세 지속, 환경관리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8 2017.09.06
543 임산부의류 인터넷 쇼핑몰‘꼰지잼잼’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2 2017.09.06
542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위생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09.06
541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이 검출된 무신고 수입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9.05
Board Pagination Prev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