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단위 사용이 많은 무인 키즈풀(워터룸)이 늘고 있다. 무인 키즈풀은 신생 업종으로 대부분 공간 임대 사업자로 신고 후 영업하고 있고, 현행 키즈카페나 체육시설에 포함되지 않아 안전관리 의무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서울․경기 지역 무인 키즈풀 12개소(서울 4개소, 경기 8개)를 조사한 결과, 주 이용층인 어린이를 위한 안전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영조 여과장치에 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덮개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순환여과 방식의 무인 키즈풀은 여과장치 가동을 위해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는데, 입수구는 어린이의 손·발 끼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입수구에 덮개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사대상 순환여과 방식의 무인 키즈풀 8개소 중 덮개를 설치한 곳은 1개소(12.5%)에 불과했다.
 * 「수영장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입수구 등에 손·발이 끼이지 않도록 보호용 덮개를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음.

☐ 무인 키즈풀 물놀이 시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찰 필요

  조사대상 12개소의 평균 수심은 59㎝였는데, 만 0세의 평균 키(49.9㎝, 남아 기준)보다는 깊고 만 1세의 평균신장(75.7㎝, 남아 기준)보다는 낮은 수치였다.

  영유아를 비롯한 일부 어린이들은 키즈풀의 수심보다 신장이 작거나 물속에서 균형을 잡지 못해 바로 서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수영보조용품을 착용했더라도 몸이 뒤집혀 얼굴이 물에 잠길 경우, 혼자 힘으로는 역방향 뒤집기를 못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해당 키즈풀의 수심을 확인하고 물놀이 중인 아이들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조사대상 무인 키즈풀 12개소 중 수심을 표시한 곳은 한 곳도 없어 개선이 필요했다.

☐ 무인 키즈풀 욕수 염소 함량 등 수질 관리 미흡

  수영장은 「체육시설법」에 따라 수질기준을 준수해야 하나, 유사 업종인 무인 키즈풀의 욕수 수질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조사대상 중 키즈풀 욕수를 제공한 11개소의 수질 상태를 수영장 수질기준을 준용해 시험해보니, 1개소(9.1%)에서 유리잔류염소와 결합잔류염소가 준용 기준치*를 각각 2.7배(2.7㎎/ℓ), 1.4배(0.7㎎/ℓ) 초과하여 검출됐다.
   * 수영장 수질기준 : 유리잔류염소 : 0.4~1.0㎎/ℓ, 결합잔류염소 : 0.5㎎/ℓ이하
  
한편, 9개소(81.8%)는 유리잔류염소가 준용 기준치(0.4~1.0㎎/ℓ)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리잔류염소: 유리잔류염소는 물속의 대장균, 수인성 질병 유발 미생물 등의 번식·확산을 억제하는 소독역할을 하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안구 통증, 눈병, 식도자극, 구토증세, 피부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농도가 낮으면 소독력이 떨어져 대장균 등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음.

■ 결합잔류염소: 결합잔류염소 수치로 수질의 오염 정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수치가 높으면 불쾌한 염소냄새 발생, 안구·피부통증이나 구토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

  이외에 탁도,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수소이온농도, 비소, 수은, 알루미늄은 모두 준용기준에 적합했다.

  무인 키즈풀은 일반적으로 사전 예약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에는 한 팀만 이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수질을 준용 기준치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한번 사용한 욕수는 전수교체하는 등 수질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 수영자의 준수사항, 어린이도 알기 쉽게 게시 필요

  조사대상 무인 키즈풀 12개소 중 준수사항을 게시한 곳은 8개소(66.7%)였고, 이 중 그림표지를 게시한 곳은 3개소(25.0%)였다. 어린이가 이용하는 시설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해하기 쉬운 그림표지 활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무인 키즈풀 내 CCTV 안내판 설치 필요

  무인 키즈풀에서는 시설의 안전관리 및 화재 예방 등을 위해 고정형 영상정보 처리기기(CCTV)를 활용하고 있는데, 이를 설치할 경우 설치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안내판을 부착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대상 키즈풀 중 관련 법규에 맞게 안내판을 설치한 곳은 1개소(8.3%)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무인 키즈풀 사업자에게 수질관리 등 관련 시설의 개선을 권고했고, 관계 부처에는 무인 키즈풀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검토 등을 건의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3-10-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33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5854 2020.04.14
4332 현대자동차(주) 제네시스(BH) 차량 OCV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583 2019.07.22
4331 절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주방용 칼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154 2017.06.02
4330 Oskri 견과류 버터 리스테리아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612 2019.09.20
4329 King Arthur 밀가루, 대장균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553 2019.07.22
4328 FOX FLOAT X2 리어 쇼크업소버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150 2017.02.07
432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맥코믹(McCormick)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840 2021.10.08
4326 King Arthur 밀가루(Unbleached All-Purpose Flour), 대장균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081 2019.12.27
4325 King Arthur's Tools 원형 체인톱, 상해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47 2019.02.07
4324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잡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98 2017.06.02
4323 MATCHSTICK MONKEY 치발기, 부품 빠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72 2018.03.21
4322 대장균 검출된 Rabbit Creek 제빵용 믹스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166 2016.12.07
4321 CAN-AM Outlander ATV, DPS 샤프트 파손으로 사고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22 2018.06.20
4320 Boxer 유니콘 키우기(Grow a unicorn) 완구, 질식 및 장폐색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58 2017.10.23
4319 Manhattan Toy 헝겊책, 떨어진 쇠고리 삼킬시 질식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49 2019.02.07
4318 영유아가 굴러 떨어져 사망사고 위험있는 인클라이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13 2021.02.08
4317 URIAGE 기저귀 크림(Bebe 1er Change/1st Change cream), 살균보조제 성분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67 2019.05.16
4316 결함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부력조절기(BCD)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649 2016.11.30
4315 어린이 보호포장 미흡한 Medi-First 일반의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54 2020.11.23
4314 내건성 곰팡이 검출된 Nulax 변비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25 2021.12.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