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단위 사용이 많은 무인 키즈풀(워터룸)이 늘고 있다. 무인 키즈풀은 신생 업종으로 대부분 공간 임대 사업자로 신고 후 영업하고 있고, 현행 키즈카페나 체육시설에 포함되지 않아 안전관리 의무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서울․경기 지역 무인 키즈풀 12개소(서울 4개소, 경기 8개)를 조사한 결과, 주 이용층인 어린이를 위한 안전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영조 여과장치에 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덮개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순환여과 방식의 무인 키즈풀은 여과장치 가동을 위해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는데, 입수구는 어린이의 손·발 끼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입수구에 덮개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사대상 순환여과 방식의 무인 키즈풀 8개소 중 덮개를 설치한 곳은 1개소(12.5%)에 불과했다.
 * 「수영장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입수구 등에 손·발이 끼이지 않도록 보호용 덮개를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음.

☐ 무인 키즈풀 물놀이 시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찰 필요

  조사대상 12개소의 평균 수심은 59㎝였는데, 만 0세의 평균 키(49.9㎝, 남아 기준)보다는 깊고 만 1세의 평균신장(75.7㎝, 남아 기준)보다는 낮은 수치였다.

  영유아를 비롯한 일부 어린이들은 키즈풀의 수심보다 신장이 작거나 물속에서 균형을 잡지 못해 바로 서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수영보조용품을 착용했더라도 몸이 뒤집혀 얼굴이 물에 잠길 경우, 혼자 힘으로는 역방향 뒤집기를 못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해당 키즈풀의 수심을 확인하고 물놀이 중인 아이들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조사대상 무인 키즈풀 12개소 중 수심을 표시한 곳은 한 곳도 없어 개선이 필요했다.

☐ 무인 키즈풀 욕수 염소 함량 등 수질 관리 미흡

  수영장은 「체육시설법」에 따라 수질기준을 준수해야 하나, 유사 업종인 무인 키즈풀의 욕수 수질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조사대상 중 키즈풀 욕수를 제공한 11개소의 수질 상태를 수영장 수질기준을 준용해 시험해보니, 1개소(9.1%)에서 유리잔류염소와 결합잔류염소가 준용 기준치*를 각각 2.7배(2.7㎎/ℓ), 1.4배(0.7㎎/ℓ) 초과하여 검출됐다.
   * 수영장 수질기준 : 유리잔류염소 : 0.4~1.0㎎/ℓ, 결합잔류염소 : 0.5㎎/ℓ이하
  
한편, 9개소(81.8%)는 유리잔류염소가 준용 기준치(0.4~1.0㎎/ℓ)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리잔류염소: 유리잔류염소는 물속의 대장균, 수인성 질병 유발 미생물 등의 번식·확산을 억제하는 소독역할을 하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안구 통증, 눈병, 식도자극, 구토증세, 피부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농도가 낮으면 소독력이 떨어져 대장균 등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음.

■ 결합잔류염소: 결합잔류염소 수치로 수질의 오염 정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수치가 높으면 불쾌한 염소냄새 발생, 안구·피부통증이나 구토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

  이외에 탁도,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수소이온농도, 비소, 수은, 알루미늄은 모두 준용기준에 적합했다.

  무인 키즈풀은 일반적으로 사전 예약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에는 한 팀만 이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수질을 준용 기준치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한번 사용한 욕수는 전수교체하는 등 수질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 수영자의 준수사항, 어린이도 알기 쉽게 게시 필요

  조사대상 무인 키즈풀 12개소 중 준수사항을 게시한 곳은 8개소(66.7%)였고, 이 중 그림표지를 게시한 곳은 3개소(25.0%)였다. 어린이가 이용하는 시설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해하기 쉬운 그림표지 활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무인 키즈풀 내 CCTV 안내판 설치 필요

  무인 키즈풀에서는 시설의 안전관리 및 화재 예방 등을 위해 고정형 영상정보 처리기기(CCTV)를 활용하고 있는데, 이를 설치할 경우 설치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안내판을 부착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대상 키즈풀 중 관련 법규에 맞게 안내판을 설치한 곳은 1개소(8.3%)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무인 키즈풀 사업자에게 수질관리 등 관련 시설의 개선을 권고했고, 관계 부처에는 무인 키즈풀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검토 등을 건의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3-10-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29 가전제품 판매 전자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1.17
928 설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1.16
927 에틸렌옥사이드 농약 함유돼 건강위험으로 리콜된 Mi Sedaap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2.06
926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925 부품이 분리되어 어린이에게 질식 위험 있는 이케아 블라인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92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공기주입식 주사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30
923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922 주식회사매니쉬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09
921 질식 및 청력 손상 위험 있는 워터플루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7.11
920 화재 위험있는 팬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4.03
919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4.01
918 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아 익사 위험 있는 NEWAO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21
917 가품판매 쇼핑몰 라운딩샵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13
916 ‘광고 없는 유튜브’ 계정공유 서비스 피해 급증… 이용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08
915 부품 결함으로 상해 위험이 있는 혼다 선외기 무상수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2.29
914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10
913 포장 결함 가능성이 있는 무인양품 파스타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08
912 화재, 유독가스 확산 전에 신속히 대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2.13
» 무인 키즈풀(워터룸) 안전기준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0.24
910 CMIT/MIT 및 폼알데하이드 과다 함유한 스탬프잉크패드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8.16
Board Pagination Prev 1 ...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