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가을철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등산, 낚시 등 국민의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산행 시 발생하기 쉬운 등산사고와 낚시할 때 지켜야 할 안전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였다.

□ 10월은 설악산과 오대산에서 시작된 단풍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단풍 구경 등으로 산행객이 늘어나면서 등산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2년(2020~2021)간 전국 각지에서 10월에 국립공원을 다녀간 탐방객은 월평균 471만명보다 1.7배 많은 781만명*으로 연중 가장 많았다.
     *국립공원 탐방객 산출 시 제외 :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 해상, 변산반도

 ○ 또한, 최근 2년간 발생한 등산 사고는 총 14,950건으로 인명피해는 8,698명(사망 192, 부상8,506) 발생하였으며, 이 중 10월에는 2,149건의 등산사고로 1,257명(사망 21, 부상1,236)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발을 헛디디며 발생하는 실족 사고가 785건(37%)으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사고 612건(28%),  신체질환으로 인한 사고 453건(21%), 추락 77건, 고립 12건 순이다.

 ○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여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에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하여야 한다. 등산로는 지정된 길을 이용하고 입산이 통제된 위험·금지구역은 절대 출입하지 않는다.

   - 한로(10.8.)와 상강(10.24.)을 지나며 풀숲에 이슬이 맺히고, 서리까지 내리면 등산로가 생각보다 미끄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한로)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 (상강)서리가 내리는 시기

   -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부는 경우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등 보온용품을 챙겨 추위에도 대비하도록 한다.

  ○ 또한, 늦가을로 갈수록 낮의 길이가 점점 줄어들고 일찍 어두워져 조난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좋다.
      ※ 10월 지역별 일몰 시간(한국천문연구원)
       ㆍ(서울) 1일 18:16, 10일 18:03 20일 17:49, 30일 17:37
       ㆍ(강릉) 1일 18:09, 10일 17:55, 20일 17:41, 30일 17:29
       ㆍ(제주) 1일 18:19, 10일 18:07, 20일 17:55, 30일 17:44

  ○ 아울러 산에서 멧돼지나 들개 등과 마주쳤을 때는 최대한 움직임과 소리를 줄여 그 자리를 벗어나고 등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야생동물 처리 등 위험요인 발견 시 안전신문고(앱, 웹)로 신고

□ 한편, 계절이 바뀌며 어종이 풍부해지는 가을 낚시철을 맞아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낚시를 위해 해안가를 드나들 때, 위험·금지구역은 출입하지 않으며 기상상황에 유의한다.

    - 날씨가 안 좋을 때, 갯바위와 방파제, 네발 방파석(테트라포드)에서의 낚시는 가급적 자제하고, 특히 갯바위는 해수와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각별히 주의하도록 한다.

  ○ 또한, 바다에서는 수시로 풍랑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밀물과 썰물 시간을 미리 파악하여 밀물에 고립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낚시 중이라도 풍랑 특보가 내려지면, 즉시 방파제·갯바위 등 위험지역에서 벗어나고, 먼바다에서 잔잔히 몰려와 해안가에서 갑자기 솟구치는 너울성 파도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밤 낚시를 할 때는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등이나 발광제품을 몸에 부착하는 것도 좋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야외활동하기 좋은 쾌청한 날씨에 등산·낚시 등으로 집을 나설 때는 반드시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고, 혼자보다는 가급적 일행과 함께하며 관련된 예방요령도 잘 지켜 안전하게 가을을 만끽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3-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964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보험계약대출 관련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5.04.01
4963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영지버섯(불로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5.03.31
4962 필라테스 ‘폐업’ 관련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5.03.31
4961 프리마켓 시간대 거래시 주가 급등락에 따른 추종매매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5.03.28
4960 식중독균 검출된 고춧가루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5.03.28
4959 봄철 배달음식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5.03.28
4958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예방 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5.03.28
4957 땜납부에 납이 과다 함유된 휴대용 미니 저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5.03.27
4956 땜납부에 납이 과다 함유된 거짓말 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5.03.27
4955 파손 가능성이 있는 Asics 럭비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5.03.27
4954 감전 위험이 있는 왁스 워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5.03.27
4953 감전 위험이 있는 GW 헤어 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5.03.27
4952 “상조서비스 가입 시 계약내용 꼼꼼히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5.03.27
4951 선불식 할부거래분야 결합상품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5.03.27
4950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3.26
4949 전선 분리로 인한 감전 및 화재 우려가 있는Vornado 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5.03.26
4948 땜납부에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Sonoff 보안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5.03.26
4947 라벨 미표기 우유 성분을 함유한 Pearl Milling Company 팬케이크 & 와플 믹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5.03.26
4946 페달 파손으로 운전자 부상 위험이 있는 SAMEBIKE 전기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5.03.26
4945 일회용 액상 전자담배에서 유사 니코틴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5.03.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2 Next
/ 25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