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가을철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등산, 낚시 등 국민의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산행 시 발생하기 쉬운 등산사고와 낚시할 때 지켜야 할 안전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였다.

□ 10월은 설악산과 오대산에서 시작된 단풍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단풍 구경 등으로 산행객이 늘어나면서 등산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2년(2020~2021)간 전국 각지에서 10월에 국립공원을 다녀간 탐방객은 월평균 471만명보다 1.7배 많은 781만명*으로 연중 가장 많았다.
     *국립공원 탐방객 산출 시 제외 :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 해상, 변산반도

 ○ 또한, 최근 2년간 발생한 등산 사고는 총 14,950건으로 인명피해는 8,698명(사망 192, 부상8,506) 발생하였으며, 이 중 10월에는 2,149건의 등산사고로 1,257명(사망 21, 부상1,236)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발을 헛디디며 발생하는 실족 사고가 785건(37%)으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사고 612건(28%),  신체질환으로 인한 사고 453건(21%), 추락 77건, 고립 12건 순이다.

 ○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여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에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하여야 한다. 등산로는 지정된 길을 이용하고 입산이 통제된 위험·금지구역은 절대 출입하지 않는다.

   - 한로(10.8.)와 상강(10.24.)을 지나며 풀숲에 이슬이 맺히고, 서리까지 내리면 등산로가 생각보다 미끄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한로)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 (상강)서리가 내리는 시기

   -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부는 경우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등 보온용품을 챙겨 추위에도 대비하도록 한다.

  ○ 또한, 늦가을로 갈수록 낮의 길이가 점점 줄어들고 일찍 어두워져 조난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좋다.
      ※ 10월 지역별 일몰 시간(한국천문연구원)
       ㆍ(서울) 1일 18:16, 10일 18:03 20일 17:49, 30일 17:37
       ㆍ(강릉) 1일 18:09, 10일 17:55, 20일 17:41, 30일 17:29
       ㆍ(제주) 1일 18:19, 10일 18:07, 20일 17:55, 30일 17:44

  ○ 아울러 산에서 멧돼지나 들개 등과 마주쳤을 때는 최대한 움직임과 소리를 줄여 그 자리를 벗어나고 등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야생동물 처리 등 위험요인 발견 시 안전신문고(앱, 웹)로 신고

□ 한편, 계절이 바뀌며 어종이 풍부해지는 가을 낚시철을 맞아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낚시를 위해 해안가를 드나들 때, 위험·금지구역은 출입하지 않으며 기상상황에 유의한다.

    - 날씨가 안 좋을 때, 갯바위와 방파제, 네발 방파석(테트라포드)에서의 낚시는 가급적 자제하고, 특히 갯바위는 해수와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각별히 주의하도록 한다.

  ○ 또한, 바다에서는 수시로 풍랑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밀물과 썰물 시간을 미리 파악하여 밀물에 고립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낚시 중이라도 풍랑 특보가 내려지면, 즉시 방파제·갯바위 등 위험지역에서 벗어나고, 먼바다에서 잔잔히 몰려와 해안가에서 갑자기 솟구치는 너울성 파도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밤 낚시를 할 때는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등이나 발광제품을 몸에 부착하는 것도 좋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야외활동하기 좋은 쾌청한 날씨에 등산·낚시 등으로 집을 나설 때는 반드시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고, 혼자보다는 가급적 일행과 함께하며 관련된 예방요령도 잘 지켜 안전하게 가을을 만끽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3-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53 2016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1 2016.06.01
3952 인판티노(infantino) 아기띠, 버클 파손으로 낙상사고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0 2020.05.21
3951 생활화학제품 사용 중 안전사고 지속적으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0 2017.04.14
3950 우유 성분 미표기한 비타민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9 2017.03.06
3949 Little Giant Velocity, LT, Liberty 브랜드의 접이식 사다리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8 2017.04.26
3948 2016년 3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6 2016.04.29
394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5.20∼2016.5.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5 2016.05.30
394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22∼2016.4.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4 2016.05.02
3945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7.10
3944 화상위험 있는 게임패드 충전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6.02
3943 하이드퀴논 과다 함유한 Dream Cosmetics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2 2022.06.14
3942 2016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2 2016.06.01
3941 카드뮴 및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een 팔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0 2022.06.13
3940 ㈜휠코치, KC마크 표시가 없는 에어랜더 Z11 전동킥보드 교환·환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0 2018.07.18
3939 제품에서 이취 발생한 ㈜팜스토리/홈앤쇼핑(주)‘브라질 넛’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9 2017.07.28
393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7.15~2016.7.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9 2016.07.25
393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5.13∼2016.5.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9 2016.05.23
3936 페인트 붓 완구 Crea-Play, 니켈 다량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8 2018.07.19
3935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18~ 2016.07.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8 2016.10.10
3934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26 2016.07.2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