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가을철 청명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등산, 낚시 등 국민의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산행 시 발생하기 쉬운 등산사고와 낚시할 때 지켜야 할 안전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였다.

□ 10월은 설악산과 오대산에서 시작된 단풍이 전국으로 확대되어 단풍 구경 등으로 산행객이 늘어나면서 등산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2년(2020~2021)간 전국 각지에서 10월에 국립공원을 다녀간 탐방객은 월평균 471만명보다 1.7배 많은 781만명*으로 연중 가장 많았다.
     *국립공원 탐방객 산출 시 제외 :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 해상, 변산반도

 ○ 또한, 최근 2년간 발생한 등산 사고는 총 14,950건으로 인명피해는 8,698명(사망 192, 부상8,506) 발생하였으며, 이 중 10월에는 2,149건의 등산사고로 1,257명(사망 21, 부상1,236)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발을 헛디디며 발생하는 실족 사고가 785건(37%)으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사고 612건(28%),  신체질환으로 인한 사고 453건(21%), 추락 77건, 고립 12건 순이다.

 ○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여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에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하여야 한다. 등산로는 지정된 길을 이용하고 입산이 통제된 위험·금지구역은 절대 출입하지 않는다.

   - 한로(10.8.)와 상강(10.24.)을 지나며 풀숲에 이슬이 맺히고, 서리까지 내리면 등산로가 생각보다 미끄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한로)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 (상강)서리가 내리는 시기

   -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부는 경우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등 보온용품을 챙겨 추위에도 대비하도록 한다.

  ○ 또한, 늦가을로 갈수록 낮의 길이가 점점 줄어들고 일찍 어두워져 조난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좋다.
      ※ 10월 지역별 일몰 시간(한국천문연구원)
       ㆍ(서울) 1일 18:16, 10일 18:03 20일 17:49, 30일 17:37
       ㆍ(강릉) 1일 18:09, 10일 17:55, 20일 17:41, 30일 17:29
       ㆍ(제주) 1일 18:19, 10일 18:07, 20일 17:55, 30일 17:44

  ○ 아울러 산에서 멧돼지나 들개 등과 마주쳤을 때는 최대한 움직임과 소리를 줄여 그 자리를 벗어나고 등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야생동물 처리 등 위험요인 발견 시 안전신문고(앱, 웹)로 신고

□ 한편, 계절이 바뀌며 어종이 풍부해지는 가을 낚시철을 맞아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낚시를 위해 해안가를 드나들 때, 위험·금지구역은 출입하지 않으며 기상상황에 유의한다.

    - 날씨가 안 좋을 때, 갯바위와 방파제, 네발 방파석(테트라포드)에서의 낚시는 가급적 자제하고, 특히 갯바위는 해수와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각별히 주의하도록 한다.

  ○ 또한, 바다에서는 수시로 풍랑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밀물과 썰물 시간을 미리 파악하여 밀물에 고립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낚시 중이라도 풍랑 특보가 내려지면, 즉시 방파제·갯바위 등 위험지역에서 벗어나고, 먼바다에서 잔잔히 몰려와 해안가에서 갑자기 솟구치는 너울성 파도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바다와 강 등에서 낚시를 할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밤 낚시를 할 때는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등이나 발광제품을 몸에 부착하는 것도 좋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야외활동하기 좋은 쾌청한 날씨에 등산·낚시 등으로 집을 나설 때는 반드시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고, 혼자보다는 가급적 일행과 함께하며 관련된 예방요령도 잘 지켜 안전하게 가을을 만끽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3-10-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53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7.12.14
3652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9 2017.12.14
3651 겨울철 안전산행…안전장비와 방한복 준비는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7.12.15
3650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아동 및 청소년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7.12.15
3649 자궁경부암 예방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중1(2004년생) 여학생은 올해 내 ‘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7.12.18
3648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17.12.19
3647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12.19
3646 겨울철 면역력 주의보,‘대상포진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12.20
3645 젊은 여성(1인), 보이스피싱으로 8억원 피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17.12.21
3644 금감원, 나이롱환자 등의 허위입원을 조장하는 한방병원 무더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12.21
3643 고령자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7.12.21
3642 지속되는 한파, 저체온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12.21
3641 피젯스피너,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12.22
3640 겨울철 야영장…화재나 가스중독 사고 주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22
3639 dmBio 렌틸콩 스튜 통조림(Linseneintopf)에 플라스틱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7.12.26
3638 Shore Lunch 생선 튀김가루(Breading/Batter Mix)에서 살모넬라균 검출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12.26
3637 Toothette Oral Care 구강 스프레이(Advance Oral Moisturizer Spray) 일부 생산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26
3636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12.27
3635 생리대.팬티라이너 74종 VOCs 인체 위해 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7.12.28
3634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12.28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