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이고 관련 제도를 정착하기 위해 9월 말부터 두 달간 `투명페트병 따로모아 챌린지`를 운영한다.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는 무색·투명한 생수 및 음료 페트병을 일반 플라스틱 및 유색 페트병과 구분하여 별도로 분리 배출하는 제도다.


별도로 분리배출된 투명페트병은 새로운 페트병의 원료로 재활용(Bottle to Bottle)할 수 있고 의류를 만드는 장섬유, 화장품 용기 등 가치가 높은 제품 소재로 쓰인다.


환경부는 이번 ‘투명페트병 따로모아 챌린지’ 기간 동안 누구나 쉽게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한다. 


먼저, 9월 28일에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면 죽전 휴게소에서 귀성·귀경객을 대상으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체험관을 운영하여 가두 캠페인, 투표 게임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먼저 가두 캠페인은 투명페트병을 상징하는 가방을 장착한 행사 요원(페트맨)이 자유롭게 장내를 누비며 휴게소 이용객들에게 투명페트병 수거와 배출 방법을 안내한다. 투표 게임은 추석 명절과 관련된 질문이 적힌 투표함에 투명페트병을 넣어 투표하는 게임을 진행한다. 행사 참여자들은 무작위 방식의 추첨 게임(룰렛)을 통해 장바구니 등 다양한 폐플라스틱 새활용(업사이클링) 경품을 받을 수 있다.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체험관은 오는 11월, 한국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기간동안 야구장에서도 운영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9월 28일부터 10월 27일까지 한 달 동안 투명페트병의 올바른 배출방법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이기 위해 주 1회(총 4회) ‘온라인 퀴즈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의 필요성, 재활용 사례 등 제도 전반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여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의 상식을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다. 이 행사는 환경부 공식 인스타그램 및 유관기관(한국환경공단,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태블릿단말기 등 경품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전국 지자체와 함께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실천의 전국적 확산을 위한 공동 실천운동(캠페인)도 추진한다. 버스정보시스템(BIS)에 안내 영상을 게재하거나 지역 축제 등에서 실천운동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조현수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투명페트병은 다른 플라스틱과 섞이지 않도록 따로 모으면 다시 페트병으로 만들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라며, “페트병을 다시 페트병으로 만드는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에 적극 동참해주기를 요청드린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3-09-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09 이장·통장 처우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5
11008 ‘스트렙토키나제.스트렙토도르나제’ 제제,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3 15
11007 부정물질이 검출된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3 15
11006 주요 온라인 쇼핑몰, 평균 5.6개 유형의 다크패턴 사용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6 15
11005 2023년 10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5 15
11004 2024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11월 22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0 15
11003 청년 채용 시 학력 제한 완화하는 법령 일괄개정안, 11월 21일부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5
11002 여권 접수→여권 신청으로 국민 중심의 쉬운 표현으로 행정용어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30 15
11001 식품 종사자 건강진단 항목이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5
11000 2030, 더 이상 심뇌혈관질환 안전지대 아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5
10999 감염병 유행으로부터 국민 건강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8 15
10998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 및 감독규정 제정안 입법예고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15
10997 스마트 체중계, 제품별로 체중 정확도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5 15
10996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최근 4주간 입원환자 약 2배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22 15
10995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실손보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4 15
Board Pagination Prev 1 ...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