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류(침출차, 액상차, 고형차) 중 벤조피렌 등 실태점검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국민이 즐겨 마시는 침출차, 액상차 등 다류 제품에 대하여 벤조피렌 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4종을 실태 조사하여 위해평가한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 조사 대상은 침출차 190건, 액상차 177건, 고형차 145건 등 총 512건의 다류 제품이었다.
※ PAHs: 식품의 고온 조리·가공시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불완전 연소되어 자연 생성되는 물질
※ (4종) ①Benzop(a)Anthracene ②Chrysene ③Benzo(b)Fluoranthene ④Benzo(a)Pyrene
○ PAHs 실태 조사 결과, 침출차는 불검출~44.25 μg/kg, 액상차는 불검출~0.78 μg/kg, 고형차는 불검출~12.70 μ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 다류를 통해 섭취되는 PAHs 4종의 노출수준에 대한 위해 평가 결과, 전체 국민에 대한 노출안전력(MOE)은 4.43×106~4.62×106으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다.
- 특히 침출차의 경우 실제 차를 섭취하는 방법에 따른 침출 이행량(0~6.5%)을 고려하면 위해 영향이 더욱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 노출안전력(Margin of Exposure, MOE)은 인체발암물질인 벤조피렌 등의 위해평가시 사용하는 기준임
- 위해 영향이 낮은 수준: 10,000~100,000
- 위해 영향이 거의 없는 수준: 100,000 이상
- 위해 영향이 없는 수준: 1,000,000 이상

□ 식약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대표 기호 식품인 다류를 통한 벤조피렌 등 PAHs 노출 우려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앞으로도 다류의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PAHs 저감화, 제조공정 개선 등을 통하여 소비자의 안전관리에 노력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5-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62 금융꿀팁 200선 - (45) 보험계약대출 100% 활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261 2015년 건강보험 보장률 63.4%으로 전년보다 0.2%p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260 농관원, 로컬푸드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3
5259 3개 숙박앱 사업자의 전상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3
5258 식품 중 중금속(납, 카드뮴)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3
5257 연말연시 대출을 권유하는 전화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53
5256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53
5255 투자사기-불법 사금융 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4 53
5254 '국민안전 100일 특별대책' 지역별 취약요소 집중관리 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53
5253 ’17년 2월~ ’17년 4월 전국 아파트 79,068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53
5252 식품안전정보포털이 ‘식품안전나라’로 새로워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53
5251 현대중공업, 굴삭기 847대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5250 설 연휴기간중 금감원「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5249 ’16년 주택인·허가 72.6만호, 분양승인은 46.9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3
5248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하지 않은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53
Board Pagination Prev 1 ...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