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추석연휴, 귀성·귀경길 교통사고와 명절 음식 준비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도로교통공단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추석을 전후로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추석 연휴 전날로 평소(연간 일평균 579건)보다 1.4배 정도 많은 813건 발생하였다.

 ○ 연휴 전날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오후 2시에서 8시 사이로, 고향가기 전 마음이 바쁘더라도 서두르지 말고 안전에 유의하여 운전하여야 한다.

○ 명절에 발생하는 교통사고 건수는 평소보다 적지만, 사고건수 대비 인명피해는 오히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18~’22)간 추석 연휴에 발생한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수는 173.9명으로 평소(147.7명/100건)보다 26.2명 더 많았다.

○ 고향으로 출발하기 전에는 엔진이나 제동장치 등 차량의 이상유무를 미리 점검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도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 차량에 탑승하면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철저히 하고, 특히 아이들은 체형에 맞는 차량용 안전의자(car seat)를 사용하여야 한다. 

   -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지상파 디엠비(DMB)를 시청하는 행동 등은 매우 위험하며, 주변에서 운전자의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행동이나 지나친 대화 등도 자제하여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 운전 중에는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평소 익숙하지 않은 도로일수록 안전운전에 유의한다.

   - 장시간, 장거리 운전 등으로 피곤하거나 졸리면 창문을 열어 환기하고, 가까운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쉬어간다.

 ○ 특히 명절에는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비율도 평소보다 2.9%p 정도 높은데, 술을 한 잔이라도 마셨을 때는 운전하지 말아야 한다.

□ 한편, 추석에는 평소보다 많은 명절음식 준비 등으로 가정 내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예방에도 주의하여야 한다.

 ○ 최근 5년(’18~’22)간 추석 연휴에 발생한 화재는 총 1,224건이며, 이 중 주택화재는 평소 27.5%보다 높은 35.2%(431건)를 차지하였다.

 ○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는 음식 조리 중 자리 비움, 담배꽁초, 불씨 등 화원방치와 가연물 근접방치 등의 부주의가 251건(58.2%)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기접촉 불량 등 전기적 요인이 96건(22.3%), 전기기계 과열 등 기계적 요인이 18건(4.2%) 발생하였다.

○ 명절화재 예방을 위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는 화구 주변의 정리 정돈에 신경쓰고, 특히 불을 켜 놓은 채 잠시라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주의한다.

   - 또한, 이동식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할 때는 근처에 불이 옮겨붙기 쉬운 가연물(기름을 걷어낸 종이행주, 포장비닐 등)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하고,

   -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는 다른 전기용품과 문어발처럼 함께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콘센트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유난히 무더웠던 여름을 보내고 가족과 함께하는 즐겁고 풍요로운 추석이 될 수 있도록, 국민께서는 교통사고와 화재 등 안전수칙에 관심을 갖고 사고 예방에 각별히 유의하여 안전한 추석명절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하였다.



[ 행정안전부 2023-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29 긴 추석 연휴, 아프다고 걱정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09.25
3828 가을철 구별 어려운 독버섯, 먹을 경우 생명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09.25
3827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7.09.25
3826 식약처, 밀수입된 무허가 생리대 판매금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09.26
3825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한가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09.27
3824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7.09.27
3823 추석 연휴, 여성가족부와 함께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7.09.27
3822 기능성(흡습·속건) 등산바지, 전 제품이 흡수성 매우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7.09.27
3821 제주지역 항공여객운송서비스 관련 소비자 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17.09.27
3820 추석연휴 해외여행객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7.09.28
3819 생리대.팬티라이너 인체위해성 우려 없는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17.09.28
3818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9.28
3817 식품에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17.09.29
3816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09.29
3815 이카린 성분 검출 미국산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17.09.29
3814 추석 연휴기간 해외여행객 안전 조치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17.09.29
3813 첨단 수법으로 무장한 신종 보이스피싱 유의,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7.10.10
3812 10~12월 보행자 교통사망사고 급증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5 2017.10.10
3811 해외제조업소 현지실사 결과에 따른 필리핀 스낵과자 수입중단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1 2017.10.10
3810 가을철, 조리식품 보관주의 등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7.10.10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