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추석연휴, 귀성·귀경길 교통사고와 명절 음식 준비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 도로교통공단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추석을 전후로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추석 연휴 전날로 평소(연간 일평균 579건)보다 1.4배 정도 많은 813건 발생하였다.

 ○ 연휴 전날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오후 2시에서 8시 사이로, 고향가기 전 마음이 바쁘더라도 서두르지 말고 안전에 유의하여 운전하여야 한다.

○ 명절에 발생하는 교통사고 건수는 평소보다 적지만, 사고건수 대비 인명피해는 오히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18~’22)간 추석 연휴에 발생한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수는 173.9명으로 평소(147.7명/100건)보다 26.2명 더 많았다.

○ 고향으로 출발하기 전에는 엔진이나 제동장치 등 차량의 이상유무를 미리 점검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도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 차량에 탑승하면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철저히 하고, 특히 아이들은 체형에 맞는 차량용 안전의자(car seat)를 사용하여야 한다. 

   -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지상파 디엠비(DMB)를 시청하는 행동 등은 매우 위험하며, 주변에서 운전자의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행동이나 지나친 대화 등도 자제하여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 운전 중에는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평소 익숙하지 않은 도로일수록 안전운전에 유의한다.

   - 장시간, 장거리 운전 등으로 피곤하거나 졸리면 창문을 열어 환기하고, 가까운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쉬어간다.

 ○ 특히 명절에는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비율도 평소보다 2.9%p 정도 높은데, 술을 한 잔이라도 마셨을 때는 운전하지 말아야 한다.

□ 한편, 추석에는 평소보다 많은 명절음식 준비 등으로 가정 내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예방에도 주의하여야 한다.

 ○ 최근 5년(’18~’22)간 추석 연휴에 발생한 화재는 총 1,224건이며, 이 중 주택화재는 평소 27.5%보다 높은 35.2%(431건)를 차지하였다.

 ○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는 음식 조리 중 자리 비움, 담배꽁초, 불씨 등 화원방치와 가연물 근접방치 등의 부주의가 251건(58.2%)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기접촉 불량 등 전기적 요인이 96건(22.3%), 전기기계 과열 등 기계적 요인이 18건(4.2%) 발생하였다.

○ 명절화재 예방을 위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는 화구 주변의 정리 정돈에 신경쓰고, 특히 불을 켜 놓은 채 잠시라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주의한다.

   - 또한, 이동식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할 때는 근처에 불이 옮겨붙기 쉬운 가연물(기름을 걷어낸 종이행주, 포장비닐 등)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하고,

   -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는 다른 전기용품과 문어발처럼 함께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콘센트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유난히 무더웠던 여름을 보내고 가족과 함께하는 즐겁고 풍요로운 추석이 될 수 있도록, 국민께서는 교통사고와 화재 등 안전수칙에 관심을 갖고 사고 예방에 각별히 유의하여 안전한 추석명절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하였다.



[ 행정안전부 2023-09-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93 소비기한이 미표시된 FritoLay 팝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4.05.10
3892 알레르기 유발성분(우유) 함유한 Two bears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7.18
3891 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Airbome 멀티비타민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7.18
3890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3
3889 전기 감전 위험 있는 Lucide 테이블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3
3888 곰팡이 발생한 바나나빵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7
3887 소비자원-가스안전공사, 헬륨가스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0.28
3886 라벨 미표기 대두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Mrs. Freshley's 파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4
3885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Laoganma 고추기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4
3884 이음새 봉합이 미흡하여 질식 위험 있는 Sambro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5
3883 이취 발생한 올슨 치즈스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6
3882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9
3881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부상 위험 있는 Kidoozie 영유아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9
3880 사용 중 화재 위험 있는 Vevor 자동차 온풍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4.24
3879 금지성분인 히드로퀴논이 포함된 Dream Cosmetics 미백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2
3878 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원료가 함유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2
3877 [소비자 경보] 도수치료를 가장한 성형, 피부미용 시술 증가,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6.09
3876 리슈만편모충증 2년 만에 해외유입 감염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07
3875 유해 성분 과다 함유한 HuPop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3
3874 자동차 금융사기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및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31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