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선물용 제품*의 온라인 광고 게시물을 집중점검(8.28.~9.8.)한 결과, 허위·과대광고 509건을 적발하고, 위반 광고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신속하게 접속 차단을 요청하는 한편, 반복 위반 업체는 관할 행정기관에 행정처분 등을 의뢰했습니다.

  * (식품) 면역력 증진, 갱년기 건강 관련 제품, (의료기기) 혈압계, 체온계, 수동식의료용흡인기 등 개인용 의료기기, (화장품) 미백·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 바디워시, 바디스크럽, (의약외품) 구중청량제, 치아미백제

 이번 점검은 추석 명절을 맞아 민생안심 대책의 하나로 추석 선물용 식품·의료제품 등을 온라인에서 판매·광고하는 사이트를 점검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했습니다.

▣ 식품 등 점검 결과


 면역력 증진, 갱년기 건강 등 효능·효과를 내세운 식품 등 광고 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허위·과대광고 208건을 적발했습니다.

 주요 위반내용은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처럼 혼동시키는 광고 144건 (69%) ▲식품이 질병의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28건(14%) ▲거짓·과장 광고 26건(13%) ▲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혼동할 우려가 있는 광고 7건(3%) ▲건강기능식품 자율심의 위반 광고 3건(1%)입니다.

▣ 의료기기 점검 결과

 국내에서 허가받지 않은 의료기기를 해외 구매대행으로 판매하는 행위는 의료기기 관련 법령 위반에 해당합니다. 추석을 앞두고 체온계, 혈압계와 같이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의 직구·구매대행 광고 게시물 200건을 적발하였습니다.

▣ 장품 점검 결과

 선물로 선호도가 높은 미백·주름 기능성화장품, 바디워시, 바디스크럽 제품에 대한 광고 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부당광고 53건을 적발했습니다.

 주요 위반내용은 ▲화장품이 의약품의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 33건(62%) ▲일반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처럼 광고하거나 기능성화장품으로 심사받은 결과와 다른 내용으로 광고 19건(36%) ▲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나 소비자가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 1건(2%)입니다.

▣ 의약외품 점검 결과

 선물용으로 많이 구매하는 구중청량제, 치아미백제 광고 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효능·효과를 벗어난 거짓·과장 광고 48건을 적발했습니다. 

 소비자는 식품, 의료제품 등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려는 경우 부당광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약처로부터 허가·심사·인정받은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고 부당광고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❶ (식품 등)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마크와 ‘~에 도움을 줄 수 있음’과 같은 기능성 내용이 표시되어 있으니, 검증되지 않은 의학적 효능·효과 등을 내세우는 광고에 현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❷ (의료기기) 해외 구매대행으로 직접 의료기기를 구매하면 위·변조 또는 불량 제품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정식 수입 제품을 구매·사용해야 합니다. 

 ❸ (화장품) 기능성화장품의 효능·효과를 광고하는 화장품을 구매할 때, 기능성화장품으로 심사·보고 된 제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화장품은 질병을 예방·치료하는 의약품이 아니며, 피부과 시술로 인한 효과도 나타날 수 없으므로 과장되게 광고하는 제품은 구매하지 말아야 합니다.

 ❹ (의약외품) 허가·신고받은 효능·효과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벗어난 거짓·과장 광고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 물품별 정보 확인 누리집

■ 건강기능식품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
■ 기능성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
■ 의료기기
 의료기기정보포털(https://udiportal.mfds.go.kr) 

 식약처는 이번 점검이 소비자가 안심하고 식품, 의료제품을 구매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온라인 부당광고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극 대응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9-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56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대두) 함유된 Doritos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4.12
3755 머리 부상 위험이 있는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5.10
3754 피싱 사이트를 이용한 불법 금융투자 사기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5.23
3753 녹농균 검출된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3
3752 피해다발업체(하이트렌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4
375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껌(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4
3750 유리파편 혼입되어 부상 위험 있는 Parsons Pickles 홍합절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9
374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9)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22
3748 과열 가능성 있는 휴대용 난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3747 납 기준 초과 검출된 장난감 소방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3746 박테리아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Jergens 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4
3745 온라인쇼핑몰 ‘오시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06
3744 자석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HiPP 과일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3743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M.Asam 파운데이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4
3742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741 납 및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Leonardo 유아용 코끼리 유리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740 금속 입자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Apoday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6
3739 잠금장치 고장으로 내부 자석을 삼킬 위험있는 YETI 아이스쿨러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5.12
3738 여름철 야외 물놀이 시, 물에 빠짐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7.06
3737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8.04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