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2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여 자살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23.9.21.)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2년 자살사망자는 12,906명으로, 2021년보다 446명 감소(3.3%)하였으며,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은 25.2명으로 지난해 대비 3.2% 감소(′21년 26.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도 자살사망자 12,906명, 자살률 25.2명은 2018년 이후 제일 낮은 수치**이다. 

   * 고의적 자해(자살) 등을 포함, 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 (자살률) (’18) 26.6명, (’19) 26.9명, (’20) 25.7명, (’21) 26.0명, (’22) 25.2명

  성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남성과 여성 자살률 모두 감소하였다.

   * (남성) (’21년) 자살사망자 9,193명, 자살률 35.9명 → (’22년) 자살사망자 9,019명, 자살률 35.3명

     (여성) (’21년) 자살사망자 4,159명, 자살률 16.2명 → (’22년) 자살사망자 3,887명, 자살률 15.1명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자살률이 대부분 연령대에서 지난해 대비 감소하였으며, 특히 70대(-9.6%), 20대(-9.2%), 30대(-7.2%)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40대(2.5%), 10대(0.6%)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자살률은 80세 이상(60.6명)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70대(37.8명), 50대(29.0명), 40대(28.9명), 60대(27.0명) 순으로 높았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대(60.6명) 〉 70대(37.8명) 〉 50대(29.0명) 〉40대(28.9명) 〉 60대(27.0명) 〉 30대(25.3명) 〉 20대(21.4명) 〉 10대(7.2명)

  자살은 사회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감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 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에 따른 자살 증가 우려에 대응하여 자살예방 정책을 강화해 왔으며, 2022년에는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상담‧치료지원*을 확대한 바 있다.

   * 자살시도자‧유족 정보를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여 상담‧치료 (’22.8~), 자살 유족 맞춤형 지원을 위한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확대(’22.6~, 3개 시도 → 9개 시도) 등

  지난해 자살률 감소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등교, 출근, 영업시간 정상화 등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20대 자살률 감소(-9.2%)는 사회적 고립감 완화, 30대 여성 감소(-19.6%)는 부양부담 완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해 자살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올해부터 코로나19 이후 상대적 발탁감, 정신건강문제 등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자살률 증가 우려에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라며 ,“ 자살의 가장 큰 동기가 정신적인 부분임을 고려하여 정신건강혁신방안을 연내 마련하여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보건복지부 2023-09-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4 올해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은 77.1만건으로 전년대비 2.7%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126
913 자동차 인증대체부품 첫 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73
912 젊은계층이 말하는 행복주택 첫 입주지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79
911 신용카드와 도서시장 소비자지향성 최고,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서비스 최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101
910 재산가치 없는 동거노부모 무허가주택 합산 과세처분은 가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98
909 유통기한 변조 수입‘대두분’제품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1
908 위해도가 낮은 개인용 건강관리제품은 의료기기 아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69
907 메르스 예방 등을 표방하는 허위.과대광고 제품 단속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66
906 「기초연금법」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66
905 백일해 발생 증가 주의당부, 적기예방접종으로 사전 예방이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3
904 민간활용 중심 데이터 개방 등 정부3.0 가속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5
903 주민등록 민원, 더 쉽게 신청하고 더 빠르게 해결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4
902 올해 상반기 주택매매거래량은 61.1만건으로 2006년 이후 최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6
901 (주)선롱버스코리아 두에고 550대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89
900 홍콩 전역에 여행경보(남색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112
Board Pagination Prev 1 ...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86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