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추수기, 추석 명절 등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가을철을 맞이하여, 환자 발생이 급증하는 진드기·설치류(쥐)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쯔쯔가무시증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일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며, 진드기에 물린 후 10일 이내 발열, 오한 등의 증상과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환자의 80% 이상이 털진드기 유충의 활동 시기인 9~11월에 집중 발생하며, 올해 9월 현재까지 전년 동기간 대비 환자가 7.1% 증가하였다.

  * ’23.9.19. 기준 878명 발생(1명 사망), ’22년 동기간 820명 발생(3명 사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은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부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 이내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다. 


  SFTS는 주로 6~10월에 환자가 발생하고, 올해 9월 현재까지 전년 동기간 대비 환자가 8.5%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4.5% 증가하였다. 

  * ’23. 9. 19. 기준 118명 발생(23명 사망), ’22년 동기간 129명 발생(22명 사망)


  특히, SFTS는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약 20% 전후로 높아, 사전 예방과 환자 조기발견·적기치료가 중요한 감염병이다. 

  * ’23년 9월 현재 SFTS 치명률은 19.5%임


  한편, 진드기 매개 감염병 매개체인 참진드기(SFTS)와 털진드기(쯔쯔가무시증)는 각각 8월과 10월 초에 개체 수가 급증하여 11월까지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해당 시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설치류(쥐) 매개 감염병 :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설치류 및 가축(소, 돼지 등)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 등에 사람의 상처 부위나 점막 등이 노출된 후 2일~4주 이내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증상이 나타난다. 


  주로 태풍, 홍수, 장마 때 오염된 물을 통해 균에 노출된 후, 9~11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계절적 특성을 보이며, 올해 9월 현재까지 신고된 환자는 전년 동기간 대비 48.3% 감소*하였다.

  * ’23.9.19. 기준 31명 발생, ’22년 동기간 60명 발생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쥐)의 배설물과 소변, 타액 등을 통해 배출된 바이러스가 건조되어 사람의 호흡기나 상처난 피부 등을 통해 감염되며, 1~2주 이내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야외활동이 많은 분들에게 주로 발생하며, 성별로는 남자, 직업별로는 군인과 농부에서 환자가 집중된다. 올해 9월까지 신고된 환자는 전년 동기간 대비 약 66.7% 증가*하였다. 

  * ’23.9.19. 기준 205명 발생, ’22년 동기간 123명 발생


  한편,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환자의 감염 위험요인이 주로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으로 나타남에 따라 다음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작업이나 추석 명절 전‧후 벌초, 성묘, 여행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에는 바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진드기에 물렸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농작업, 수해복구 등 야외활동 시 피부보호를 위해 반드시 방수 처리가 된 장갑, 작업복, 장화를 착용해야 한다. 


  특히, 신증후군출혈열 감염 위험이 높은 농부, 군인 등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접종시기 : 총 3회(1개월 간격으로 2회 기본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추가접종 실시)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추석명절 및 10월 연휴기간에 가을철 야외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작업 등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근육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야외활동력 등을 알리고 적기에 치료받을 것”과, 


  의료인은 가을철에 감기 증상의 환자가 내원할 경우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일 가능성을 염두하여 야외활동력 등을 문진하고,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농작물 수확, 성묘, 여행 등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진드기와 설치류(쥐)와의 접촉을 피할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9-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93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2.14
3292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2.02.11
3291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2.02.14
3290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2.14
3289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4
3288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2.02.14
3287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7)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2.14
3286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8)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2.14
3285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9)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2.02.14
3284 금속이 혼합될 가능성이 있는 잼(스프레드)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17.06.02
3283 금융감독원을 사칭하여 추가 신규대출은 금융법위반이라며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0.12.24
3282 금융감독원을 사칭한 개인정보 탈취 보이스피싱 사기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13
3281 금융상품을 가장한 온라인 사설 FX마진 거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0.06.01
3280 금지 성분인 시부트라민이 함유된 Ketodiet 커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1.08
3279 금지 성분인 알로에 에모딘 및 에모딘이 포함된 다이어트 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3.03.16
3278 금지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 포함된 Fair & Whit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5
3277 금지성분인 히드로퀴논이 포함된 Dream Cosmetics 미백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5.12
3276 금지하는 MCI, MI 혼합물 함유해 피부염 위험 등으로 리콜된 BYPHASSE 헤어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3.01.13
3275 기계적 결함으로 영유아 부상 위험 있는 Belecoo 유모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08.18
3274 기계톱 안전사고, 60대 이상 고령층에 다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6.24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