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제3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으로 달라지는 10가지 >

□ 생계급여 선정기준 단계적 상향 … 기준 중위소득의 30%→35%
□ 자동차재산 기준 개선 … 다인·다자녀가구, 생업용 자동차 기준 완화
□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단계적 완화 … ’24년 중증장애인부터 완화
□ 재가 의료급여 사업 전국 228개 시군구로 확대
□ 주거급여 선정기준 단계적 상향 … 기준 중위소득의 47%→50%
□ 주거급여 기준임대료 현실화 및 침수방지시설 설치 지원
□ 근로·사업소득 공제 확대 … 청년층 추가공제 24세 이하→30세 미만
□ 맞춤형 자활복지 강화 및 참여자 지속 확대
□ 자산형성 지원 강화 … 청년층 맞춤형 자산형성 지속 확대
□교육급여 보장수준 확대 … ’24년 최저교육비의 100% 수준으로 인상

경기도에 거주 중인 51세 J씨는 아내와 자녀 2명(16세, 14세)과 함께 사는 4인 가족이다. J씨는 공사장으로 출퇴근하며 한달에 190만 원 정도의 수입이 있으나 기름값을 빼고 나면 생활비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J씨는 생계급여 신청했지만, 소유하고 있는 2018년식 SM5(1,998cc)의 차량가액 1,000만 원이 100% 월 소득으로 환산되어 탈락했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생업용 자동차 기준 완화로 약 50만 원의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향후 3년간의 기초생활보장제도 정책방향과 개선 과제를 담은 「제3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2024~2026)」을 발표하였다.

이번 제3차 종합계획을 통해 빈곤 사각지대 적극 해소, 급여 보장수준 강화 등 국민의 기초생활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 과제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빈곤 사각지대를 적극 해소한다. ▴의료 필요도가 높은 중증장애인 등에 대한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을 단계적으로 완화하여 5만 명 이상이 추가로 의료급여 혜택을 받게 된다. ▴자동차재산 기준을 대폭 완화*하여 과도한 기준으로 수급에서 탈락하는 경우를 최소화한다. 또한 ▴주거급여 선정기준을 향후 ‘기준 중위소득의 47%→50%’로 상향하여 약 20만 명이 추가로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다인, 다자녀, 도서·벽지 수급가구는 일반재산 환산율(4.17%) 적용, ▴생업용 자동차는 재산가액 산정에서 제외, ▴일반재산 환산율 적용 자동차 기준 완화, ▴자동차재산 소득 환산율 인하 등

기초생활 보장수준을 대폭 강화한다.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향후 ‘기준 중위소득의 30%→35%’까지 상향하여 약 21만 명이 추가로 생계급여 혜택을 받게 되고, 최저보장 수준도 크게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그 밖에 탈수급 및 빈곤완화를 위해 ▴청년층 근로·사업소득 추가공제 대상을 24세 이하→30세 미만 청년까지 확대하고, ▴자활근로 참여자를 기초생활수급자 수 증가에 따라 확대하며, ▴자산형성 수혜자도 누적 11.3만 명→15만 명까지 확대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보건복지부 2023-09-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64 리츠, 자율성 높이고 투자자 보호는 두텁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6
13063 2023년 3분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등록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9
13062 「구직자취업촉진법」 하위법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0.30.~12.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2
13061 지하철역 AED 설치 여부와 위치 등 안내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7 6
13060 ’23년 동계 항공편 스케줄 확인하고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14
13059 인파관리시스템 시범서비스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8
13058 컴포트화, 발이 받는 압력과 착용 만족감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6
13057 2016~2021년 「연금통계」 개발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11
13056 코로나19 이후, 당신의 건강은 어떤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10
13055 강아지·고양이와 함께하는 해외여행, 이렇게 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6
13054 기아·포드·현대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20
13053 2023년 3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15
13052 빈집 철거 시 재산세 부담 완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5 10
13051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 이슈를 한눈에, 제5차 여성건강통계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4 24
13050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4 21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