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지난 6월 큰 호응을 얻었던 숙박 할인권을 재개해 ‘추석 연휴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를 진행한다. 당초 숙박 할인권은 여행 비수기인 11월에 배포할 예정이었으나,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생겨난 황금연휴를 국내 여행 활성화의 기회로 활용하고자 시기를 당겨 추석 연휴에 30만 장을 배포한다.

 5만 원 초과 숙박시설 이용 시 3만 원 할인, 할인권 소진 시 조기 종료 예정

  이번 행사는 짧은 준비기간에도 불구하고 총 44개 온라인여행사와 3만여 개 국내 등록 숙박시설(호텔, 콘도, 모텔, 농어촌민박 등)이 참여했다. 참여 온라인여행사 채널을 통해 5만 원 이상 숙박시설 이용 시 3만 원 할인이 가능한 쿠폰이 제공되며, 9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발급과 예약, 숙박시설 이용을 할 수 있다. 특히, 3만 원 할인권 외에도 참여 온라인여행사별 추가 할인권, 카드사 할인, 경품 행사 등 이번 행사와 연계한 다양한 할인 혜택들이 준비되어 있어 긴 연휴 알뜰한 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숙박 할인권은 페스타 기간 중 1인 1매 사용이 가능하며, 매일 오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참여 온라인여행사 채널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발급 후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사용하지 않거나 예약을 취소하는 경우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나, 할인권 수량이 남아 있는 경우 재발급 받을 수 있다. 모든 수량 소진 시 조기 종료되므로 황금연휴에 여행 계획이 있다면 미리 확인 후 예매할 것을 권한다. 상반기에 숙박 할인권을 사용했더라도 이번 추석연휴 할인권을 새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번 페스타 기간을 놓치더라도 10월 27일부터 11월 24일까지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전국편’을 통해 한 번 더 숙박할인권의 기회가 주어질 예정이다.

 미등록 시설과 대실, 미성년자 쿠폰 사용 제한, 중소전문관 별도 운영
 9월 20일부터 한국관광공사 누리집에서 자세한 사항 안내

  이번 숙박 할인권 역시 미등록 불법 숙박시설과 대실에 사용할 수 없으며 미성년자(2004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도 발급받을 수 없다. 한편, 시스템 연동 개발이 어렵거나 단독 판매채널이 없는 중소여행사도 이번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11번가 누리집에서 중소전문관(11개사)을 별도로 운영한다. 

  할인권 사용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9월 20일(수)부터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구석구석 누리집 내 ‘2023 대한민국 숙박세일페스타’ 안내 페이지(https://ktostay.visit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궁금한 사항은 콜센터(1670-3980)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문체부 관광산업정책관 용호성 국장은 “이번 숙박 할인권은 추석연휴 민생대책 발표 이후 국민들과 업계가 수혜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사업을 준비해 혜택을 마련했다.”라고 밝혔다. 


[ 문화체육관광부 2023-09-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80 (주)선롱버스코리아 두에고 550대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89
12979 올해 상반기 주택매매거래량은 61.1만건으로 2006년 이후 최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6
12978 주민등록 민원, 더 쉽게 신청하고 더 빠르게 해결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4
12977 민간활용 중심 데이터 개방 등 정부3.0 가속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5
12976 백일해 발생 증가 주의당부, 적기예방접종으로 사전 예방이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3
12975 「기초연금법」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66
12974 메르스 예방 등을 표방하는 허위.과대광고 제품 단속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66
12973 위해도가 낮은 개인용 건강관리제품은 의료기기 아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69
12972 유통기한 변조 수입‘대두분’제품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1
12971 재산가치 없는 동거노부모 무허가주택 합산 과세처분은 가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98
12970 신용카드와 도서시장 소비자지향성 최고,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서비스 최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101
12969 젊은계층이 말하는 행복주택 첫 입주지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79
12968 자동차 인증대체부품 첫 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73
12967 올해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은 77.1만건으로 전년대비 2.7%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126
12966 『바로톡』사용으로 자료유출 걱정 없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97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