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8월말에도 지속됨에 따라, 지난해 발령(’22.9.16.)한 유행주의보의 해제 없이 ’23-’24절기(23.9월~24.8월) 시작부터 유행주의보를 발령*한다며 인플루엔자 예방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유행기준) 전국 의원급 호흡기감염병 표본감시결과, 외래환자 1천명 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6.5명(’22-’23절기 : 4.9명)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Influenza-like illness, ILI) : 38.0℃ 이상 갑작스런 발열,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자

  ’22~’23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은 작년 37주차(5.1명/1,000명, ’22.9.11.∼’22.9.17.)에  유행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23-’24절기가 시작되는 9월 첫째 주(11.3명/1,000명)까지 이어지고 있다. 
  * 2022년 동절기 유행(12.25.∼12.31., 60.7명/1,000명), 2023년 봄철 유행(5.14.∼5.20., 25.7명/1,000명)
 ** 최근 4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1,000명당): 33주(8.13.∼8.19.) 12.0명 → 34주(8.20.∼8.26.) 10.6명 → 35주(8.27.∼9.2.) 10.0명 → 36주(9.3.∼9.9.) 11.3명

  연령대별* 인플루엔자 발생은 소아를 포함한 학생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 중에 있으며, 9월 1주(’23.9.3.∼’23.9.9.) 기준 초등 연령층인 7∼12세(25.3명)에서 가장 발생이 높았고, 13∼18세(13.6명), 1∼6세(12.9명) 순으로 높았다.
  * 7-12세(25.3명) > 13-18세(13.6명) > 1-6세(12.9명) > 19-49세(11.0명) > 50-64세(6.7명) > 65세이상(4.7명) > 0세(2.4명)

  또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22-’23절기 유행주의보 해제 없이, ’23-’24절기 유행주의보가 이어지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환자에게 적용하는 항바이러스제에 대해서는 검사 없이도 요양급여가 지속 인정된다고 밝혔다.
  * 소아, 임신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대사장애, 심장질환, 폐질환, 신장기능 장애 등(붙임 5 참조)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은 인플루엔자 유행이 없어 지역 사회 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면역이 감소하였고”, 

  “올해 3월 코로나19 방역 정책이 전면 완화되면서 대면활동의 증가, 손씻기·기침예절·마스크 쓰기 등 개인위생수칙에 대한 긴장감 완화, 환기 부족 등으로 인플루엔자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고 하면서,

  “동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올해 9월 20일부터 시작되는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과, 인플루엔자의 합병증 발생이 높은 임신부와 생후 6개월~만 13세의 어린이 대상자는 해당 일정 중 가급적 이른 시기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외출 전·후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등 기본적인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의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받기

  - 해당 대상자는 접종 시기에 맞춰 조속히 접종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질병관리청 2023-09-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3 7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7.06.30
172 7월, 질식사고 발생 가능성 최고조로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08
171 7~8월 폭염기간 전기화재, 벌 쏘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7.07.06
170 6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8.05.31
169 5월은 겨울보다 등산 사고가 많아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0.05.14
168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5.07
167 5월 가정의 달 맞아,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9.04.29
166 5월 가정의 달 맞아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6 2019.05.02
165 5월 가정의 달 나들이,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5.02
164 5300만명 대상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8.04.16
163 50대 이상, 연령 높을수록 폐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6 2017.05.29
162 4차 추경 지원금 문자안내 관련 결제사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0.09.25
161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및 백신 접종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3.09
160 4개 브랜드(Graco, Britax, Dream On Me, B.O.B) 8개 유모차 모델, 안전기준 위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7.10.31
159 3월, 이런 재난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2.27
158 3월 초등학교와 중학교 입학 예정 어린이, 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8.01.31
157 3M 절연 안전모 무상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47 2016.08.10
156 30-50대출 등 서민을 노리는 불법 급전대출 주의 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0.10.14
155 3-MCPD 오염물질 초과 함유한 SILVERSWAN 간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8.24
154 2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1.30
Board Pagination Prev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