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8월말에도 지속됨에 따라, 지난해 발령(’22.9.16.)한 유행주의보의 해제 없이 ’23-’24절기(23.9월~24.8월) 시작부터 유행주의보를 발령*한다며 인플루엔자 예방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유행기준) 전국 의원급 호흡기감염병 표본감시결과, 외래환자 1천명 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6.5명(’22-’23절기 : 4.9명)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Influenza-like illness, ILI) : 38.0℃ 이상 갑작스런 발열,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자

  ’22~’23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은 작년 37주차(5.1명/1,000명, ’22.9.11.∼’22.9.17.)에  유행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23-’24절기가 시작되는 9월 첫째 주(11.3명/1,000명)까지 이어지고 있다. 
  * 2022년 동절기 유행(12.25.∼12.31., 60.7명/1,000명), 2023년 봄철 유행(5.14.∼5.20., 25.7명/1,000명)
 ** 최근 4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1,000명당): 33주(8.13.∼8.19.) 12.0명 → 34주(8.20.∼8.26.) 10.6명 → 35주(8.27.∼9.2.) 10.0명 → 36주(9.3.∼9.9.) 11.3명

  연령대별* 인플루엔자 발생은 소아를 포함한 학생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 중에 있으며, 9월 1주(’23.9.3.∼’23.9.9.) 기준 초등 연령층인 7∼12세(25.3명)에서 가장 발생이 높았고, 13∼18세(13.6명), 1∼6세(12.9명) 순으로 높았다.
  * 7-12세(25.3명) > 13-18세(13.6명) > 1-6세(12.9명) > 19-49세(11.0명) > 50-64세(6.7명) > 65세이상(4.7명) > 0세(2.4명)

  또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22-’23절기 유행주의보 해제 없이, ’23-’24절기 유행주의보가 이어지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환자에게 적용하는 항바이러스제에 대해서는 검사 없이도 요양급여가 지속 인정된다고 밝혔다.
  * 소아, 임신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대사장애, 심장질환, 폐질환, 신장기능 장애 등(붙임 5 참조)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은 인플루엔자 유행이 없어 지역 사회 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면역이 감소하였고”, 

  “올해 3월 코로나19 방역 정책이 전면 완화되면서 대면활동의 증가, 손씻기·기침예절·마스크 쓰기 등 개인위생수칙에 대한 긴장감 완화, 환기 부족 등으로 인플루엔자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고 하면서,

  “동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올해 9월 20일부터 시작되는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과, 인플루엔자의 합병증 발생이 높은 임신부와 생후 6개월~만 13세의 어린이 대상자는 해당 일정 중 가급적 이른 시기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외출 전·후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등 기본적인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의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받기

  - 해당 대상자는 접종 시기에 맞춰 조속히 접종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질병관리청 2023-09-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11 화재 위험 초래하는 호버보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07
4210 머리 부상 위험이 있는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0
4209 보행 중 밴드가 탈락될 위험이 있는 등산장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0
4208 내용물을 삼킬 위험이 있는 세탁세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7
4207 바쁜 농번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23
4206 눈 마사지기 1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1.16
4205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Akai Bohshi 쿠키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1.20
4204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Neoprosone 피부 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3
4203 질식 위험이 있는 Make Believe Ideas 보드북 (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8
4202 회로판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Russound 컨트롤러 앰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8
4201 포장 요건 위반한 Krylon 그림용도 고정용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8
4200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가 함유된 Funny-frisch 프레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2.19
4199 제조결함 및 누출 등으로 인해 변질 우려가 있는 Wang 떡볶이 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4
4198 주행 중 돌발서행 발생하는 기아㈜ K8 하이브리드 차량 무상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5
4197 시력 손상 위험 있는 VSSHE 반려동물용 레이저포인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4
4196 감전 위험있는 Tumakou 고주파 미용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5
4195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서던 피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6
4194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EMS 힙 트레이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6
4193 새학기 봄철 놀이시설에서의 어린이 추락사고를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06
4192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보풀 제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2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