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동복지법」시행령 ․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 지방자치단체의 아동보호 책무 강화 및 아동 안전관리 강화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아동복지법」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하여 5월 23일부터 7월 4일까지(42일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 이번 개정안은 지난 3월 22일 개정·공포된「아동복지법」에 따라 보호아동의 아동복지시설 퇴소절차 등을 명확하게 하는 등 지자체의 아동보호 책무를 강화하는 한편,

○ 아동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시설의 설치기준 등을 개선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입법예고안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자체의 책무 강화>

① 지자체의 아동복지심의위원회 운영의 효율성 제고(시행령 제13조제4항)

- 지역 아동정책 수립 및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 등을 심의하는 지자체의 아동복지심의위원회(아동복지법 제12조)의 활성화를 위해


- 그 기능과 구성에 적합한 유사 위원회가 있을 경우,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위원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

② 보호아동의 퇴소 절차 일원화(시행령 제16조, 시행규칙 제6조 및 제12조)

- 아동복지법 개정('16.3.22)으로 보호아동의 퇴소 권한이 아동복지시설장 및 지자체장 → 지자체장으로 일원화됨에 따라

- 아동복지시설장 등은 지자체장에게 퇴소신청서를 제출하고, 지자체장이 해당 아동의 퇴소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

③ 아동복지시설 휴·폐업 시 전원조치 절차 명확화(시행령 제50조의2)

- 아동복지시설을 휴·폐업 하려는 경우 보호아동의 권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 시설장이 보호아동의 특성·권익을 고려한 전원조치계획을 수립하여 지자체장에게 요청하고, 지자체장이 전원조치하도록 함

<아동의 안전관리 강화>

④ 아동복지시설 안전관리 강화(시행규칙 제23조제3항)

- 아동복지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 예방을 강화하기 위하여

- 아동복지시설의 설치신고 시, 시·군·구청장이 관할 소방서장 등에게 「소방시설법」*상 설치해야 할 소방시설 등을 확인하도록 함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⑤ 아동 안전 교육기준 개선(시행령 제28조제1항 관련 별표 3)

- 단체생활에서의 감염병 발생을 최소화하고 아동기부터 건강에 대한 올바른 상식을 가질 수 있도록

- 아동복지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등학교의 장이 아동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감염병 예방 및 예방접종의 이해’도 교육내용에 추가

* (현행 교육분야) 성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 실종·유괴의 예방과 방지, 약물의 오남용 예방, 재난대비 안전, 교통안전

<아동복지시설의 설치기준 등 개선>

⑥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장의 자격기준 확대(시행령 제43조 관련 별표7)

- 현재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3년이상 상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제한하여 적기에 인력채용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 사회복지사 1급 이상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 아동복지사업에 5년 이상 또는 사회복지사업에 7년 이상 종사한 사람 및 7급 이상 공무원으로서 아동복지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한 사람을 추가함

⑦ 공동생활가정 설치기준 개선(시행규칙 제24조 관련 별표 1)

- 공동생활가정*의 설치를 활성화하여 보호대상아동의 가정형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 7명이하의 아동과 종사자가 일반가정형태로 생활하는 아동복지시설

-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제5조제3항에 따른 청소년출입이 허용된 노래연습장에 한하여 주변에 설치 인정

□ 보건복지부는 입법예고 기간 중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 이번 개정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16년 7월 4일까지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로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며,

○ 개정안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정보 → 법령 → “입법·행정예고 전자공청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의견 제출방법(우편) >

○ 제출처
- 주소 : (3011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7층,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
- FAX : (044) 202 - 3967

○ 기재사항
- 입법예고 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찬반 여부와 그 의견)
- 성명(법인 또는 기타 단체인 경우에는 그 명칭과 대표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 기타 참고사항 등

※ 통합입법예고시스템(http://opinion.lawmaking.go.kr)을 통하여서도 의견 제출 가능

 

[보건복지부 2016-05-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19 식품 중 헥사클로로부타디엔(HCBD)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1
2618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1
2617 언제 어디서나 24시간 365일, 영사민원24 챗봇에서 민원상담 받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2
2616 카페·식당 내 1회용품 사용, 지도 및 안내 중심으로 계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2
2615 르노삼성·비엠더블유·현대·기아 등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1 14
2614 정부는 감염병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임대료 감액 기준을 마련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1 17
2613 학교 밖 청소년 무료 건강검진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1 12
2612 대중골프장 이용료, 4개월 만에 약 8% 하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1 10
2611 영아수당 3월 25일까지 51,334명 신청, 45,405명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1 13
2610 2월 주택 통계(미분양, 매매·전월세거래량 및 건설실적)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1 23
2609 가족 돌봄 청(소)년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에 참여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1 11
2608 첫만남이용권(출생아 당 200만 원 바우처) 지급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1 9
2607 생활 속 유해물질 통합 위해성 평가 결과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1 12
2606 퀴즈풀고 경품 행운도 잡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1 14
2605 임금명세서, 회사에서 쉽게 만들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4 9
Board Pagination Prev 1 ...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