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실버 헬스케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노인요양시설과 의료서비스시설 등에서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실버 헬스케어 산업 중 고령친화 의료기기 제조업시장규모 : (’20) 12,714억 원 (’21) 18,090억 원(42.3% ) (2021년 고령친화산업 제조·서비스업 실태조사 및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2. 12.)

2022년 고령자 위해정보 동향 분석(2023.8.)에 따르면 20192022년까지 주택 외 장소에서 발생한 고령자(65세 이상) 안전사고 다발 상위 5개 품목은일반자전거’,에스컬레이터’,목욕탕’,의료용 침대’,사다리등이 있었으며, 그 중 의료용 침대관련 안전사고가 3년 연속 증가 추세를 보여 심층 분석함.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매년 증가, 10건 중 9건은 낙상사고

최근 36개월간(202020236)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의료용 침대 관련 위해사례는 총 374건으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연도별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발생 현황 ]

                                                                                                                    (단위 : , %)

구분

2020

2021

2022

2023(1~6)

합계

건수

66

94

122

92

374

증감률

-

42.4

29.8

-

-


위해원인을 살펴보면, 추락·미끄러짐·넘어짐 등 낙상사고92.5%(346)로 가장 많았고, 눌림·끼임·부딪힘 등 기타 물리적 충격5.6%(21)로 뒤를 이었다.

다친 부위는 머리 및 얼굴45.7%(17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둔부, 다리 및 발 35.3%(132), 팔 및 손 7.8%(29)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으로는 골절40.9%(153)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타박상 19.8%(74), 열상(찢어짐) 13.1%(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80% 이상이 60대 이상에서 발생하고, 복지·요양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

안전사고가 발생한 연령대를 살펴보면 8041.2%(154)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7018.7%(70), 90세 이상 12.6%(4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접수 건의 대다수인 82.9%60대 이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생장소별로는 요양원·요양병원 등의 복지 및 노인요양시설58.8%(22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종합병원·전문병원 등의 의료서비스시설 39.0%(146), 주택 등의 기타 장소 2.2%(8) 등이 뒤를 이었다

고령자 신체 기능의 저하로 낙상 위험 높아, 의료용 침대 이용 시 안전수칙 숙지해야

고령자의 경우 근력과 시력 저하 등 신체 기능의 변화와 인지 기능의 저하, 질병이나 약물의 영향 등에 의해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려워 낙상사고의 위험에 자주 노출되며*, 낙상사고 시 중상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한국소비자원은 가천대 길병원과 공동으로 진행한고령자 추락·낙상사고 위해사례 동향분석(2016.10.)에서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자 낙상은 중추신경 및 근골격계의 노화로 신체가 뻣뻣해지고 조절능력이 감소되며 불안정하게 보행하는 고령자가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한다고 안내한 바 있음.

고령자가 중상해를 입을 경우, 회복기간이 길어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안전수칙 숙지를 통한 사고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에게 침대 위에 머무를 때는 침대 바퀴를 모두 고정하고 양쪽 난간을 올릴 것, 거동이 불편할 경우 보호자와 함께 이동하거나 간호사를 호출할 것, 낙상사고 발생 시, 추후 더 큰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바로 병원 진료를 받을 것 등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노인요양시설 및 의료시설 등의 유관기관과 협력해 소비자에게 올바른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등 의료기기 관련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3-09-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33 Little Tikes 브랜드, 유아용 그네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6 2017.04.19
4032 Boosted Dua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중지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5 2017.06.02
4031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5 2017.05.29
4030 우수판매업소 지원 확대 및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2 2016.07.26
4029 패류독소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1 2017.02.27
4028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1 2016.04.29
4027 기준치 초과 금속성 이물 검출된 분말 식품 12종 시정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7 2019.07.22
4026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7 2017.03.07
4025 고정 클립 없는 Summer Infant社 유아용 월풀욕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6 2017.02.08
4024 화재 위험 있는 Kikkerland Design社 대나무받침이 있는 유리주전자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5 2017.02.08
4023 기아자동차㈜ 쏘렌토UM 차량 도어래치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4 2017.07.27
4022 뮈싱쇠 비치체어(해변의자) 전액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7.01.26
402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18~2016.11.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6.11.28
402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4.8~2016.4.1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6.04.15
4019 SHRI SHIVA Foods社, 향신료(MTR Sambar Powder)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3 2017.04.10
4018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29~ 2016.09.0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2 2017.03.02
4017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08~ 2016.08.1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2 2017.03.02
4016 현대자동차㈜ 싼타페DM·맥스크루즈 차량, 냉매 누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0 2018.06.20
4015 신덕종합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8 2022.02.23
4014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7 2016.08.12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