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23.) 및 경보발령(7.27.) 이후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추정진단)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올해 첫 환자 발생은 예년과 비슷한 시기로 보고되었다.


  첫 환자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60대 남성으로 발열, 의식불명 등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검사를 통해 급성기 상태의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의 특이항체가 검출됨에 따라 9월 5일 추정환자로 진단되었으며, 추후 회복기 혈청을 통해 확인진단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일본뇌염 진단 기준 ] 

∙ 확인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하거나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최근 5년간(2018-2022)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92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9~10월에 80%가 발생하는데, 이는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8월 중순까지 높은 발생밀도를 나타내고, 9월까지 밀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주요 연령대는 50대 이상에서 약 87%가 감염되었으며, 주 증상은 발열, 의식변화, 뇌염증상, 두통, 구토 순이었다.


  일본뇌염은 잠복기가 5~15일로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2010.1.1.이후 출생 아동)은 아래와 같이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➊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과 ➋일본뇌염 위험국가*에, 특히 농촌 지역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버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출처: CDC)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9월은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간에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 소아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강조하였다.


< 일본뇌염 예방수칙 >

 - 매개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하기

 -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뿌리기

 - 가정 내 방충망을 정비하고, 캠핑 등 야외 취침 시 텐트 안에 모기장 사용하기

 -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 없애기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2010. 1. 1.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



[ 질병관리청 2023-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09 포장 오류로 다른 제품 들어있는 하쿠바쿠 잡곡(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17
608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17
60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9.27
606 병뚜껑 튀어 부상 위험 있는 IRN-BRU 탄산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8.25
605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8.23
60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22
60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22
602 알레르기 유발성분(달걀) 함유한 Wish-Bone 셀러드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8
60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껌(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4
600 의약품 성분 검출된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3
599 기준치 초과 증발 잔류물이 검출된 Woru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17
598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13
597 식품 원료로 사용 불가한 성분이 함유된 구매대행 식품(GI Relief)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5.07
596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장난감 기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3.21
595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1.30
594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Kemei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1.04
593 표시사항 및 어린이보호포장 요건을 위반한 NicPro 에폭시 레진 키트 (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12.18
592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11.22
591 구성 불량으로 화재발생 우려 있는 Vevor 플라즈마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590 방글라데시 방문 우리 국민 뎅기열로 사망, 동남아 등 뎅기열 유행지역 방문 시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1
Board Pagination Prev 1 ...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