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23.) 및 경보발령(7.27.) 이후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추정진단)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올해 첫 환자 발생은 예년과 비슷한 시기로 보고되었다.


  첫 환자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60대 남성으로 발열, 의식불명 등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검사를 통해 급성기 상태의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의 특이항체가 검출됨에 따라 9월 5일 추정환자로 진단되었으며, 추후 회복기 혈청을 통해 확인진단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일본뇌염 진단 기준 ] 

∙ 확인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하거나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최근 5년간(2018-2022)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92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9~10월에 80%가 발생하는데, 이는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8월 중순까지 높은 발생밀도를 나타내고, 9월까지 밀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주요 연령대는 50대 이상에서 약 87%가 감염되었으며, 주 증상은 발열, 의식변화, 뇌염증상, 두통, 구토 순이었다.


  일본뇌염은 잠복기가 5~15일로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2010.1.1.이후 출생 아동)은 아래와 같이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➊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과 ➋일본뇌염 위험국가*에, 특히 농촌 지역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버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출처: CDC)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9월은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간에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 소아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강조하였다.


< 일본뇌염 예방수칙 >

 - 매개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하기

 -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뿌리기

 - 가정 내 방충망을 정비하고, 캠핑 등 야외 취침 시 텐트 안에 모기장 사용하기

 -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 없애기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2010. 1. 1.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



[ 질병관리청 2023-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49 겨울의 초입 11월, 화재 산불 대설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11.02
3548 겨울철 가스보일러·전기 난방기구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12.22
3547 겨울철 굴, 복어, 과메기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0.12.14
3546 겨울철 근로자 건강, 한랭질환 예방으로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11.26
3545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11.28
3544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예방 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18.12.18
3543 겨울철 노로바이러스감염증 발생 증가, 개인위생 철저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12.04
3542 겨울철 대설.한파,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2.18
3541 겨울철 면역력 주의보,‘대상포진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12.20
3540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시, 즉시 119에 도움 요청, 신속한 응급실 이송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12.26
3539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주의 ! 조기증상 숙지하여 신속한 응급상황 대처 당부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9 2019.12.27
3538 겨울철 안전산행…안전장비와 방한복 준비는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7.12.15
3537 겨울철 야영장…화재나 가스중독 사고 주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22
3536 겨울철 야외활동을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1.17
3535 겨울철 전기장판 사용 시 저온화상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2.14
3534 겨울철 주류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18.12.05
3533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11.29
3532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7.12.19
3531 겨울철, 전기매트류 화재·화상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2.13
3530 결함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부력조절기(BCD)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676 2016.11.30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