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23.) 및 경보발령(7.27.) 이후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추정진단)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올해 첫 환자 발생은 예년과 비슷한 시기로 보고되었다.


  첫 환자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60대 남성으로 발열, 의식불명 등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검사를 통해 급성기 상태의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의 특이항체가 검출됨에 따라 9월 5일 추정환자로 진단되었으며, 추후 회복기 혈청을 통해 확인진단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일본뇌염 진단 기준 ] 

∙ 확인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하거나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최근 5년간(2018-2022)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92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9~10월에 80%가 발생하는데, 이는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8월 중순까지 높은 발생밀도를 나타내고, 9월까지 밀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주요 연령대는 50대 이상에서 약 87%가 감염되었으며, 주 증상은 발열, 의식변화, 뇌염증상, 두통, 구토 순이었다.


  일본뇌염은 잠복기가 5~15일로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2010.1.1.이후 출생 아동)은 아래와 같이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➊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과 ➋일본뇌염 위험국가*에, 특히 농촌 지역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버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출처: CDC)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9월은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간에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 소아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강조하였다.


< 일본뇌염 예방수칙 >

 - 매개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하기

 -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뿌리기

 - 가정 내 방충망을 정비하고, 캠핑 등 야외 취침 시 텐트 안에 모기장 사용하기

 -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 없애기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2010. 1. 1.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



[ 질병관리청 2023-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59 생활가전레저 전시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7.25
3858 감전 위험이 있어 리콜된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9.06
3857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된 Arabian Oud Majestic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9.20
3856 온라인 해외직구 의약품은 안전과 효과를 담보할 수 없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1.08
3855 수험생·학부모를 현혹하는 식품·의약품 온라인 부당광고·불법판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1.09
3854 포장 불량이 발생한 포장 불량이 발생한 요네야 피너츠 모나카 땅콩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1.21
3853 표시사항 및 어린이보호포장 요건을 위반한 NicPro 에폭시 레진 키트 (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2.18
3852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2.20
3851 불완전 장착 가능성 있는 Atomic SUMMIT 12 BR 스키바인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2.20
3850 연말 연휴기간 직전 집중공시 관련 유의사항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2.21
3849 영유아의 질식 위험 가능성 있는 수유쿠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2.21
3848 땜납부에 납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는 Flawlbss 얼굴용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1.04
3847 제조결함 및 누출 등으로 인해 변질 우려가 있는 Wang 떡볶이 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1.04
3846 과도한 납 함유한 Yuming 네일 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1.04
3845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아동용 손목시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1.08
3844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ed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4.01
3843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피규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5.13
3842 배터리 문제 있는 Final Touch 주류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7.15
384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6)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7.22
3840 바운서에 아기를 재우면 질식할 수 있어 위험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8.05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