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3.23.) 및 경보발령(7.27.) 이후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추정진단)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올해 첫 환자 발생은 예년과 비슷한 시기로 보고되었다.


  첫 환자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60대 남성으로 발열, 의식불명 등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검사를 통해 급성기 상태의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의 특이항체가 검출됨에 따라 9월 5일 추정환자로 진단되었으며, 추후 회복기 혈청을 통해 확인진단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일본뇌염 진단 기준 ] 

∙ 확인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하거나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진단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최근 5년간(2018-2022)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92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9~10월에 80%가 발생하는데, 이는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8월 중순까지 높은 발생밀도를 나타내고, 9월까지 밀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주요 연령대는 50대 이상에서 약 87%가 감염되었으며, 주 증상은 발열, 의식변화, 뇌염증상, 두통, 구토 순이었다.


  일본뇌염은 잠복기가 5~15일로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2010.1.1.이후 출생 아동)은 아래와 같이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➊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과 ➋일본뇌염 위험국가*에, 특히 농촌 지역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버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출처: CDC)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9월은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간에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 소아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강조하였다.


< 일본뇌염 예방수칙 >

 - 매개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하기

 -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뿌리기

 - 가정 내 방충망을 정비하고, 캠핑 등 야외 취침 시 텐트 안에 모기장 사용하기

 -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 없애기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2010. 1. 1.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



[ 질병관리청 2023-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09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09.13
608 추석절, 예초기 사고와 벌쏘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8.24
607 추운 겨울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1.15
606 추운 겨울철에도 퍼프린젠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2.01.19
605 추운겨울, 손발에 감각이 없고 덜덜덜 떨린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7.12.14
604 추워지는 날씨, 난방기구 사용 시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11.09
603 추워지는 날씨, 미끌미끌 빙판길 교통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12.09
602 추워지는 날씨, 전열기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1.17
601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0.10.08
600 축제, 혼잡할수록 기본질서 지켜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10.11
599 춥고 미끄러운 겨울산행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8.01.04
598 충격 요건 미충족으로 부상 위험 초래하는 Ovation Protege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4.10
597 충격 흡수 미흡해 부상 위험 있는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4.04.03
596 충격흡수 기능이 미흡한 승마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4.05.28
595 충격흡수 성능이 미흡하여 상해 위험이 있는 Vihir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6
594 충격흡수력 기준 미달인 Jix社의 오토바이 헬멧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2 2017.09.01
593 충격흡수성능 미흡한 OK Baby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2.06.08
592 충돌 시 사용자 보호가 미흡해 머리부상 위험 있는 JBM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5.12
591 충전기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CORE 마사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28
590 충전방법에 따라 고장위험이 있는 '소피루비 루비워치'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62 2017.04.26
Board Pagination Prev 1 ...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