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가을철 아침과 저녁은 쌀쌀하지만 기온이 올라가는 낮에는 식중독 발생 우려가 있어 개인 위생관리와 조리식품 보관온도 준수 등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최근 5년간(’18~’22년, ’22년 잠정) 가을철(9월~11월)에 총 341건의 식중독이 발생했고 환자수는 9,236명이었으며, 이 중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이 전체 발생의 26%(87건, 5,853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가을철 식중독 발생 장소는 음식점 225건(66%), 유치원·어린이집 등 집단급식소 40건(12%), 학교급식소 23건(7%) 순으로 음식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을철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생채 등 채소류와 육류였고, 살모넬라 식중독은 계란말이 등 달걀 조리식품, 김밥 등 복합조리식품 순이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관리, 조리된 음식의 보관·섭취 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선 음식을 조리하기 전, 화장실 사용 후에는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하며, 달걀, 생고기 등을 만진 후에도 반드시 손을 다시 씻고 조리해야 합니다.

 특히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2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것이 좋고 야외활동 시 김밥, 도시락 등 조리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냉장상태로 이동·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음식을 섭취하기 전에 변질 여부를 확인하여 이미·이취 등이 의심되는 식품은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식중독 발생 사례) 단체 여행객이 오전 7시경 김밥을 구매한 후 상온에 4시간 가량 보관하였다가 섭취 후 집단식중독(17명) 발생
   → 식중독 원인은 김밥을 상온 보관하는 과정에서 식중독균이 증식한 것으로 조사됨

 칼, 도마 등 조리도구는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육류, 생선, 채소·과일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며, 육류를 조리한 도구 등을 세척할 때는 그 주변에 조리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식재료나 조리된 음식은 미리 치워 세척한 물이 튀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을 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9-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209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Enjoy Life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1.16
1208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1207 슈도모나스균 오염 가능성 있는 베이비워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1.16
1206 이취 발생한 올슨 치즈스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6
1205 고무 조각 혼입된 Calve 땅콩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1.16
1204 하단 분리돼 화상 위험 있는 Smilatte 휴대용 유리 머그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2.11.16
1203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및 화상 위험 있는 Evolution 콘크리트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11.16
1202 하강레포츠시설 안전확보를 위한 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11.17
1201 추워지는 날씨, 전열기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1.17
1200 베스트프라자 / BESTPLAZ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1.22
1199 엘지전자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1.22
1198 특정금전신탁 가입 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 특정금전신탁은 무조건 원금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1.23
1197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직구 성수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23
1196 피해다발업체/뷰티히어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11.24
1195 "겨울철 전열기 사용 시 화재·화상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2.11.28
1194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1.29
1193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2.02
1192 ‘벤스가구’ A/S·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2.02
1191 SK가전 스토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2.05
1190 화재 발생 시 대피는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12.05
Board Pagination Prev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