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제28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하여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한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살펴보는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9월 6일(수) 발표했다.

□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2년 1인 가구는 750만 2천 가구로 ‘21년 대비 4.7% 증가했고, 남성 1인 가구는 30대(22.0%), 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았다.
 * 연령별 1인 가구 구성비(%)

 

20세 미만

20

30

40

50

60

70

80세 이상

여성

0.7

18.1

12.7

9.5

12.7

18.3

15.2

12.7

남성

0.7

18.9

22.0

16.5

17.6

15.1

6.3

3.0


 ㅇ 2022년 초혼 건수는 14만 8천 건으로, ‘21년 대비 0.6% 감소했고,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21년 대비 각 0.3세, 0.2세씩 상승했다.
* 평균 초혼 연령:(’21) 남성 33.4세, 여성 31.1세 → (’22)남성 33.7세, 여성 31.3세 

 ㅇ 2022년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115만 1천 명으로 ‘21년 대비 2.8% 증가했고, 그중 여성 가구원이 52.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 2022년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0.0%로, ‘10년(52.7%) 대비 7.3%포인트(p) 상승해 처음으로 60%에 진입하였다. 

 ㅇ 2022년 여성 취업자 중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에 취업한 비율은 8.4%로 ‘10년 대비 2.8%포인트(p) 상승했고, 남성은 12.4%로 2.4%포인트(p) 상승했다.
* 취업자 중 300인 이상 사업체 비율(%):(’10) 남성 10.0, 여성 5.6 → (’22)남성 12.4, 여성 8.4

 ㅇ 2022년 여성 저임금(중위임금의 2/3 미만) 근로자는 22.8%, 남성 저임금근로자는 11.8%로 ‘10년 대비 여성은 17.0%포인트(p), 남성은 4.4%포인트(p) 감소했다. 
* 저임금근로자 비율(%):(’10) 남성 16.2, 여성 39.8 → (’22)남성 11.8, 여성 22.8

□ 2022년 육아휴직자는 약 13만 1천 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19년(10만 5천 명) 대비 남성은 약 1만 6천 명, 여성은 약 1만 명 증가했다.
* 육아휴직자(명):(‘19) 여성 82,886, 남성 22,295 → (’22) 여성 93,245, 남성 37,884

 ㅇ 2022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 8천 명으로 ‘19년(2만 2천 명) 대비 1.7배 증가하여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 육아휴직자 성별 구성비(%):(‘19) 여성 78.8, 남성 21.2 → (’22) 여성 71.1, 남성 28.9

 ㅇ 2022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근로자는 1만 9천 명으로  ‘19년(5천 6백 명) 대비 3.4배 증가했다.

 ㅇ 2022년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남성(17.3%)과 여성(14.4%) 모두 ‘19년 대비 5.0%포인트(p) 이상 증가했다(남 5.1%p, 여 5.4%p).
*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19) 남성 12.2, 여성 9.0 → (’22) 남성 17.3, 여성 14.4 

□ 2022년 기준 가사분담을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 비율이 여성(23.7%)과 남성(18.2%) 모두에서 ‘20년 대비 각 1.4%포인트(p), 2.9%포인트(p)씩 감소했다.
* (가사분담 실태)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 응답비율(%):(’20) 여성 25.1, 남성 21.1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통계를 기반으로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국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참고) 
ㅇ 이 자료는 공표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작성하였기 때문에 각 통계에 따라 활용가능한 시계열 기간이 달라 수록된 자료의 시계열이 서로 다를 수 있음
ㅇ 각 영역별 시계열 비교 시점은 장기 추세, 코로나19, 자료 공표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최신 통계와 비교함
  - (인구) ‘21년 대비, (노동시장) ’10년 대비, (일·생활균형) ‘19년 대비, (사회인식) ’20년 대비



[ 여성가족부 2023-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55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신설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6 81
3154 식품 이물 신고, 지속적 감소 추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0 81
3153 지방세외수입 고액·상습체납자 원천봉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1
3152 소스류 등 제조업체 합동 기획 감시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30 81
3151 불법 현수막·입간판...., 주민과 함께 걷어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8 81
3150 건축물 감리, 공종·단계별 “실명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81
3149 불법 사무장병원의 보험사기에 대한 기획조사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1 81
3148 2014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6 81
3147 식약처, 여름 휴가철 식·의약품 건강안전 정보 제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9 81
3146 뜨거운 여름 햇볕, 휴가철 야외활동 시「일광화상」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4 81
3145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 가급적 자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81
3144 「유행성 눈병」이렇게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6 81
3143 탈모방지 샴푸를 탈모 치료 효과로 거짓 광고한 업체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2 81
3142 주택공급규칙, 알기 쉽게 전면개정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6 81
3141 대출금리 등 비교공시 강화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1
Board Pagination Prev 1 ...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