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석 명절을 앞두고 본격적인 벌초 철을 맞이한 가운데, 예초기 사용 중 안전사고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이 공동으로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연도별 접수 건수(증감률) : 2020년 102건 → 2021년 40건(60.8%↓) → 2022년 77건(82.5%↑)

최근 3년간(2020~2022년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예초기 관련 안전사고는 총 219건으로, 지난해에는 전년(2021년) 대비 약 82.5% 증가한 77건이 접수됐다.

*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 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예초기 안전사고, 추석 전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

예초기 안전사고 현황 분석 결과, 성묘 전 벌초 작업이 집중되는 ‘9월’(33.3%, 73건)에 가장 많았고, 대부분 남성(83.6%, 183건)에게 발생했다. 또한, 연령 확인된 216건은 ‘60대’ 31.0%(67건), ‘50대’ 29.6%(64건), ‘70대’ 17.6%(38건) 순으로 나타나는 등 주 이용자인 남성 장년·노인층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예초기 날에 ‘발·다리’ 등이 ‘베이거나 찢어지는’ 사례가 많아

위해 부위별*로는 ‘발·다리’에 상해를 입은 사례가 절반 이상인 64.2% (140건)였으며, 이어 ‘손·팔’ 27.5%(60건), ‘머리·얼굴’ 5.5%(12건), ‘어깨·목’ 1.8%(4건) 등의 순이었다.

* 위해 부위가 확인되지 않은 1건을 제외한 218건 분석

또한, 위해 증상별로 분석해보니 날카로운 날이 고속 회전하는 예초기 특성상 피부가 베이거나 찢어지는 ‘열상·절상’이 89.0%(195건)로 대부분이었고, ‘골절’ 5.5%(12건), ‘절단’ 3.7%(8건), ‘안구 손상’ 1.4%(3건)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사례를 살펴보면, 날에 의한 직접 상해 이외에도 돌이나 날 파편이 튀어 작업자나 주위  사용 시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예초기 보호덮개를 장착해야

예초기 사용 시 사용자는 반드시 안면 보호구, 무릎보호대, 작업화 등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해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또한 비의도적인 접촉이나 주변 이물질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덮개를 장착 후 사용해야 한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모든 예초기에는 보호덮개가 제공되어야 함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온라인 통신판매중개사에게 예초기 판매 입점업체 교육 등을 요청했으며, 현재 제품을 판매 중인 사업자에게는 주의문구 표시를 강화토록 권고했다. 또한 전국 농업기술원을 통해 농업지도자들에게 관련 내용을 제공해, 예초기를 주로 사용하는 농업인들에게 사용상 주의를 당부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에게는 ▲ 반드시 안전 장비와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옷을 착용할 것, ▲ 예초기 보호덮개를 부착할 것, ▲ 사용 전 칼날의 상태·부착 상태와 작업봉 결합 여부, 배터리 안전 등을 점검할 것, ▲ 작업 전 주변 돌과 이물 등을 제거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고 작업반경 15m 이내에 사람이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사람들이 다치거나, 안전장치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아 발생한 상해사고도 확인됐다.


[ 산업자원통상자원부 2023-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884 발연·발화 우려가 있는 무선이어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5.02.25
4883 라벨에 미표기된 처방약 성분을 함유한 Fouzee 혈당조절 보충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5.02.25
4882 라벨에 미표기된 땅콩 잔류물을 함유한 Orgain 단백질 파우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5.02.25
4881 외화보험상품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및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5.02.25
4880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5.02.24
4879 OTT 등 계정공유 플랫폼,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5.02.24
4878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5.02.24
4877 상장회사 결산시즌에 발생하는 불공정거래행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5.02.24
4876 금융회사 사칭으로 금전을 편취하는 악질 불법 금투업자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5.02.24
4875 “제발 좀 잡아주세요” 중고거래 사기수법 각양각색…‘민원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5.02.24
4874 다른 제품이 들어가 밀 알러지 위험이 있는 Fresh Gourmet 토르티야 스트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5.02.20
4873 낙상사고 위험이 있는 폴딩형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5.02.20
4872 가연성이 높은 플럭스(납땜 보조제) 제거제(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5.02.20
4871 가연성이 높은 플럭스(납땜 보조제) 제거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5.02.20
4870 헤어스프레이 판매 사업자에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알레르기 유발물질) 사용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5.02.20
4869 대형 산불 위험 높은 건조한 봄, 산불 예방에 각별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5.02.19
4868 콩고민주공화국 남키부주 여행경보 4단계 (여행금지)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5.02.19
4867 해외직구 디지털 도어록, 일부 제품 화재발생 시 문 열 수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5.02.18
4866 노로바이러스 예방 위해 어린이집, 유치원 등 위생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5.02.17
4865 고수익으로 현혹하며 신분증,위임장 등을 요구한다면 대출사기 가능성을 의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5.02.1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52 Next
/ 25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