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석 명절을 앞두고 본격적인 벌초 철을 맞이한 가운데, 예초기 사용 중 안전사고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이 공동으로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연도별 접수 건수(증감률) : 2020년 102건 → 2021년 40건(60.8%↓) → 2022년 77건(82.5%↑)

최근 3년간(2020~2022년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예초기 관련 안전사고는 총 219건으로, 지난해에는 전년(2021년) 대비 약 82.5% 증가한 77건이 접수됐다.

*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 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예초기 안전사고, 추석 전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

예초기 안전사고 현황 분석 결과, 성묘 전 벌초 작업이 집중되는 ‘9월’(33.3%, 73건)에 가장 많았고, 대부분 남성(83.6%, 183건)에게 발생했다. 또한, 연령 확인된 216건은 ‘60대’ 31.0%(67건), ‘50대’ 29.6%(64건), ‘70대’ 17.6%(38건) 순으로 나타나는 등 주 이용자인 남성 장년·노인층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예초기 날에 ‘발·다리’ 등이 ‘베이거나 찢어지는’ 사례가 많아

위해 부위별*로는 ‘발·다리’에 상해를 입은 사례가 절반 이상인 64.2% (140건)였으며, 이어 ‘손·팔’ 27.5%(60건), ‘머리·얼굴’ 5.5%(12건), ‘어깨·목’ 1.8%(4건) 등의 순이었다.

* 위해 부위가 확인되지 않은 1건을 제외한 218건 분석

또한, 위해 증상별로 분석해보니 날카로운 날이 고속 회전하는 예초기 특성상 피부가 베이거나 찢어지는 ‘열상·절상’이 89.0%(195건)로 대부분이었고, ‘골절’ 5.5%(12건), ‘절단’ 3.7%(8건), ‘안구 손상’ 1.4%(3건)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사례를 살펴보면, 날에 의한 직접 상해 이외에도 돌이나 날 파편이 튀어 작업자나 주위  사용 시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예초기 보호덮개를 장착해야

예초기 사용 시 사용자는 반드시 안면 보호구, 무릎보호대, 작업화 등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해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또한 비의도적인 접촉이나 주변 이물질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덮개를 장착 후 사용해야 한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모든 예초기에는 보호덮개가 제공되어야 함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온라인 통신판매중개사에게 예초기 판매 입점업체 교육 등을 요청했으며, 현재 제품을 판매 중인 사업자에게는 주의문구 표시를 강화토록 권고했다. 또한 전국 농업기술원을 통해 농업지도자들에게 관련 내용을 제공해, 예초기를 주로 사용하는 농업인들에게 사용상 주의를 당부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에게는 ▲ 반드시 안전 장비와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옷을 착용할 것, ▲ 예초기 보호덮개를 부착할 것, ▲ 사용 전 칼날의 상태·부착 상태와 작업봉 결합 여부, 배터리 안전 등을 점검할 것, ▲ 작업 전 주변 돌과 이물 등을 제거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고 작업반경 15m 이내에 사람이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사람들이 다치거나, 안전장치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아 발생한 상해사고도 확인됐다.


[ 산업자원통상자원부 2023-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80 "원금과 고수익을 동시에 보장" 한다고 유혹하는 유사수신 업체 투자권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0 2020.11.23
4379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3.09.07
4378 히스타민이 고함유된 Pelazza Anchovy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17
4377 흰 가루가 발생하는 (주)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소재 섬유제품, 사용 자제 촉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7 2017.06.23
4376 흙먼지털이 시설에 설치된 공기분사기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1 2021.03.25
4375 흉터 치료, 지방감소 표시.광고 제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7 2021.05.13
4374 휴대폰 할인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22.05.03
4373 휴대폰 텔레마케팅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3.01.25
4372 휴대폰 케이스 일부에서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0 2017.08.24
4371 휴대폰 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7 2019.04.18
4370 휴대폰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8.08
4369 휴대폰 사기 판매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4 2021.10.05
4368 휴대전화發 불법도박 이미지스팸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6 2018.02.13
4367 휴대용 수소흡입기, 질병·질환 치료 등 부당광고 조심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3.03.16
4366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2 2017.08.03
4365 휴대용 가스레인지 관련 사고 26%는 봄철에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5 2021.04.02
4364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지 안전성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9.14
4363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11 2016.08.08
4362 휴가철 숙박, 여행, 항공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18.07.25
4361 휴가철 맞이하여 어린이·청소년 물놀이 안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8 2017.07.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