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3년 6~8월에 중국 및 몽골에서 페스트 확진환자 5명의 발생이 보고됨에 따라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선제적 대응의 일환으로 몽골을 페스트 검역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여 8월 29일부터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 (기존) 중국, DR콩고, 마다가스카르, (추가) 몽골


  현재까지 국내에서 페스트 환자나 페스트균에 오염된 설치류가 확인된 적은 없으며, 최근 5명의 페스트 환자가 보고된 중국 내몽골자치구* 및 그 인접국가인 몽골은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풍토병 지역으로, 두 국가 모두 확진사례 외 추가 확진자 발생은 보고되지 않았다.

  * 내몽골자치구 발생현황: (’19년) 4건 → (’20년) 1건 → (’21년) 1건 → (’22년) 0건 → (’23.8월) 3건  


  또한, 올해 국외 발생 보고 건은 모두 림프절 페스트로 다른 페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파 가능성* 및 치명률**이 낮고 국내 상용화된 항생제***  ,     (2 )   다. 

  * 전파 가능성 : 대부분 사람 간 전파는 매우 드물지만 폐 페스트는 비말 통한 사람 간 전파도 가능

 ** 치명률 : 림프절 페스트(5∼15%), 폐 및 패혈증 페스트(30∼50%)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겐타마이신 (gentamycin), 독시사이클린 (doxycycline), 클로람페니콜 (chloramphenicol) 등


  현재까지 국외 페스트 발생에 따른 종합적인 위험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나, 최근 중국 및 몽골 여행객이 지속 증가하고 있어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해 페스트 검역관리국가에 몽골을 추가하고 입국 시 건강상태질문서(또는 Q-CODE)를 통해 유증상자 감시 등 강화된 검역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국외 보건당국 및 세계보건기구(WHO)와 긴밀히 협력체계를 가동해 국외 페스트 발생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은 만일 페스트 균에 감염되더라도 조기에 발견해 항생제를 투여하면 치료가 가능하고, 국내 환자 발생에 대비한 항생제*가 충분히 비축되어 있는 등 페스트 환자관리와 통제를 위한 방역 대응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국외 페스트 산발적 발생상황에 대해 지나친 불안보다는 예방수칙 확인과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민들께서는 페스트 감염 예방을 위해 발생지역 방문 시 쥐나 쥐벼룩, 마못과 같은 야생동물(사체 포함) 접촉을 피하고, 발생지역 여행 후 7일 이내 페스트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나 보건소로 연락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고열, 권태감, 두통, 근육통, 오심, 구토, 통증을 동반한 림프절 부종 등


  아울러, 의료진의 경우 “페스트 의심환자 진료 시 검역관리지역 입국자* 여부를 잘 확인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살피고, 신속한 환자 신고에도 적극 협력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 의료진 대상으로 페스트 검역관리지역 해외여행력 정보 제공 중



[ 질병관리청 2023-08-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20 2019년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및 2019년 4월 시도별 임금.근로시간조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7
12919 2019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3 13
12918 2019년 8월, '대여(렌트) 서비스', '음식 관련 서비스' 소비자불만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1 25
12917 2019년 9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13
12916 2019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41
12915 2019년 9월, ‘이·미용기구‘, ‘펜션‘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3 7
12914 2019년 HIV/AIDS 신고 현황 연보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3 16
12913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33
12912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7
12911 2019년 건강보험료율 인상률 3.49%(6.24%→6.46%)로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9 71
12910 2019년 결핵 신규환자 2만 3821명, 최근 10년 간 전년 대비 최대폭 9.9%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12909 2019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3 58
12908 2019년 공정위 업무계획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7 10
12907 2019년 교통사고 사망자 3,349명, 전년 대비 11.4%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1
12906 2019년 국가기술자격 검정,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32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