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감염 위험이 높은 시기(10월~11월)가 다가옴에 따라 주요 매개체인 털진드기 발생밀도 감시사업을 8월 넷째주부터 전국 20개 지역*에서 동시 시작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지원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센터(16개)를 주축으로, 호남권질병대응센터 및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감시 수행 

  쯔쯔가무시증 감염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할 수 있으며, 물린 자리에 가피(검은 딱지, eschar)가 생기는 특징이 있고,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근육통,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등이 있다.

  「털진드기 발생감시 사업」은 국민에게 털진드기 발생 및 밀도변화 정보를 제공하며 쯔쯔가무시증 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환경(논, 밭, 수로, 초지)에서(붙임 1 참고) 털진드기 채집기(특허 제10-1555975)를 이용한 조사 결과를 매주 누리집*을 통해 제공한다.
  * ‘병원체 및 매개체 감시 주간정보’ 등으로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 (http://www.npt.kdca.go.kr)을 통해 대국민에게 제공할 예정

  국내에 쯔쯔가무시균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2년도 감시 결과, 주로 남부와 일부 북부에서는 활순털진드기가, 중부 및 서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대표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붙임2 참고).
  * 활순털진드기(Leptotrombidium scutellare), 대잎털진드기(L. pallidum), 수염털진드기(L. palpale), 동양털진드기(L. orientale), 반도털진드기(L. zetum), 사륙털진드기(Neotrombicula japonica), 조선방망이털진드기 (Euschoengastia koreaensis), 들꿩털진드기(Helenicula miyagawai)

  또한 털진드기 유충 발생은 초가을(9월 말~10월 초)에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늦가을(10월 말)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붙임2 참고).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추수기 및 가을 단풍철에 털진드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음에 따라,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위험환경 노출을 최소화하기”를 당부하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는 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소매 옷, 긴 바지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잘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쯔쯔가무시균 감염 초기에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기에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며, 야외활동 후 진드기에 물린 자국(가피)이 관찰되거나, 10일 이내 발열·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갖춰입기
   * 밝은 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중

 -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후

 - 귀가 즉시 옷은 털어 세탁하기 

 - 샤워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 의심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질병관리청 2023-08-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3 2019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2032 이제 여성농업인도 출산급여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2031 교육부 소관 1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2030 근로장려금, 5월에 신청 못했다면 ‘기한 후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2
2029 정부민원 '한 곳에서 한 번에' 상담... 23일 정부합동민원센터 문 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4 12
2028 무신고 수입산 기구.용기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12
2027 FTA 15년, 국내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1 12
2026 세균발육 양성, '식육추출가공품' 회수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2
2025 2019년 9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12
2024 식약처, 줄기세포 화장품 온라인 광고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2
2023 올여름 휴가철 주요 호텔, 국내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2
2022 지방자치단체 관리·운영 주차장, 공직자등의 주차료 상시 면제 없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4 12
2021 주민등록등초본 등 전자증명서, 은행앱에서도 사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3 12
2020 어린이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오늘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7 12
2019 추석연휴에 알아두면 유용한 금융정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0 12
Board Pagination Prev 1 ...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