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세청(청장 김창기)은 홈택스의 복잡한 메뉴체계 및 노후화된 디자인을 납세자 맞춤형 서비스로 전면 개편하여 8월 26일(토) 새로 개통하였습니다.


□먼저, 840여 종에 이르는 방대한 홈택스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면밀하게 분석하고 편의성을 고려하여 메뉴를 재구성하였습니다.


 ○종전의 ‘조회/발급, 신청/제출’ 등 추상적인 명칭으로 구성된 최상단 메뉴를 납세자가 메뉴명만으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세금신고, 장려금‧연말정산,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 등으로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개편하고


구 분

최상단 메뉴

종전

(6)

조회/발급

민원증명

신청/제출

신고/납부

상담/제보

세무대리/납세관리

개편

(8)

세금신고

납부고지환급

국세증명사업자등록

세금관련 신청/신고

지급명세서

자료제출공익법인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전자(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신용카드

상담불복고충

제보기타

세무대리납세관리


-그동안 모든 납세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던 메뉴 구조를 개인납세자, 개인사업자, 법인 등 납세자 유형별로 사용 가능한 메뉴만 나타나는 맞춤형 메뉴를 제공합니다.


   * (예) ‘개인’이 로그인 시 종합소득세, 양도소득세, 근로장려금, 연말정산 관련 메뉴 제공

           ‘법인’이 로그인 시 부가가치세, 법인세, 지급명세서, 전자(세금)계산서 관련 메뉴 제공


 ○또한, 핵심 단어가 누락‧축약되는 등 납세자 입장에서 직관성이 낮은 불명확한 메뉴명을 알기 쉽게 정비*하였습니다.


   * (종전) 연부연납 허가내역 조회→ (정비) 상속·증여세 연부연납 허가내역 조회

     (종전) 발급된 증명정보→ (정비) 세무대리인이 발급한 나의 증명조회


□아울러, 홈택스 포털 디자인도 납세자 요구사항과 최신 트렌드를 접목하여 고령자와 MZ세대를 모두 포용할 수 있도록 개편하였습니다.


 ○고령자‧저시력자도 홈택스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국민이 주로 보유한 모니터 크기(21인치 이상)에 맞춰 상․하 확장형으로 화면을 넓게 구현하고 글자 크기*도 크게 확대하였습니다.


   * (종전) 최소 12글꼴 사용 → (개선) 최소 14글꼴, 주로 15글꼴 사용


  -홈택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통합검색창과 로그인을 초기화면 전면에 바로 보이도록 배치하여 사용자 편의를 높이고


  -통합검색창에는 실시간 인기검색어와 함께 납세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를 자동 완성하여 서비스 바로가기와 추천검색어를 제공하는 등 검색 기능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납세자 유형별로 많이 사용하는 메뉴를 묶어 홈택스가 선제적으로 추천하는 「방문자별 맞춤 메뉴」와 홈택스 시스템 사용 기록(Log) 정보를 활용한 「최근 인기 메뉴」를 제공하고


  -월별 세무일정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서비스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세무일정별 자주 찾는 메뉴」를 제공하는 등 콘텐츠 중심으로 개편하였습니다.


 ○한편, 「홈택스 이용 길잡이」 안내를 통해 홈택스를 처음 사용하는   납세자도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홈택스 이용안내’, ‘주요제도 소개’, ‘신규사업자 이용안내’ 등을 상세하게 구성하고,고령자(시니어)분들이 홈택스 기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쉽게 안내하는 화면과 추천 메뉴를 신설하였습니다.


□ 이번 개편을 통해 사회 초년생, 신규 사업자, 고령자 등 누구나 쉽고 편하게 홈택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국세청은홈택스를 더욱 고도화하여 사용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빅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능형 홈택스로 발전시켜 나가는 등 적극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 국세청 2023-08-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54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6.8건, 불필요한 의료방사선 피폭 감소를 위한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0 17
10453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2월 21일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1 17
10452 청소년에 속는 억울한 자영업자 CCTV로 막을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17
10451 카드사 리볼빙 광고, 다음과 같이 개선하겠습니다! - 여신금융협회와 공동으로 소비자 피해 우려 사항 정비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6 17
10450 색조 화장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17
10449 운전자가 무사고 경력과 운전경력을 합리적으로 인정받아 보험료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자동차보험 경력인정기준을 개선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2 17
10448 한국쓰리엠(3M) 방음용 귀덮개,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17
10447 식약처, 무인카페 위생수준 한 단계 더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2 17
10446 상기생, 부처손 등 식용불가 농.임산물 섭취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2 17
10445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하이패스 없이도 고속도로 통행료 무정차 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17
10444 [금융꿀팁] 153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가입시 알아야 할 유익정보 및 분쟁사례를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9 17
10443 가정과 지구를 지키며 구매해요… 2024 녹색소비주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17
10442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8월 16일부터 일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18
10441 최중증 독거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폭염기간 집중 이용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7 18
10440 공간정보 활용 쉬워진다…종류·개방물량 표준분류체계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9 18
Board Pagination Prev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