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과 한국소비자원(원장 직무대행 정동영, 이하 ‘소비자원’)은 새로운 개인 이동 수단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전동킥보드의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하고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만화(붙임1 참조)를 8월 정기 반상회를 통해 배포한다.
 * (’19년)10건 → (’20년)39건 → (’21년)39건 → (’22년)115건 → (’23.上)35건 (소방청 국가화재정보)
 
특히, 작년 전동킥보드 화재사고가 115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소방청과 협력하여 화재사고 원인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전동킥보드에 내장된 리튬배터리로 인한 화재였으며, 다양한 제조사(24개사)의 제품에서 화재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했다.
 * 소방청이 제공한 107건의 화재사고 자료 중 과충전 등 배터리 원인 94건(87.8%), 비정품 충전기 사용 등 사용자 부주의 5건(4.7%), 내부 배선 합선 등 기타 원인 8건(7.5%)으로 분석
 
이에 국표원은 작년 화재사고가 수차례 발생한 제조사의 전동킥보드(4개사 5개 모델)를 대상으로 제품 사고조사를 실시한 결과, KC인증 당시와 다르게 부품을 무단 변경하는 등 조사대상 제품에서 불법사항이 확인되어, 한국제품안전관리원에 불법제품 조사를 의뢰하였으며, 현재 시중 판매 중인 전동킥보드(14개사 15개 모델)에 대해서도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표원과 소비자원 관계자는 “리튬배터리는 과충전으로 인해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어 완충되면 반드시 충전기 코드를 뽑아야 하고, 만약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출입구 근처에서는 전동킥보드를 충전하지 말 것”을 강조하면서, “화재사고 발생시에는 신속한 사고조사를 위해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 또는 1670-4920)로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 국가기술표준원 2023-08-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9 신체부위가 끼일 위험있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2 2017.06.02
428 역회전으로 부상 위험이 전동드릴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17.06.02
427 부품 탈락에 따른 질식사고 위험있는 Fiesta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7.06.02
426 C형간염, 내성균 2종(VRSA, CRE) 전수감시 시작, 잡단 감염을 조기 인지하여 선제적 대응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54 2017.06.02
425 벤츠, 포르쉐, BMW, 두카티 리콜실시 (총 15개 차종 2,014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17.06.01
424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0 2017.06.01
423 바르는 여드름 치료제, 여드름 부위에만 사용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6.01
422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조미건어포류’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4 2017.06.01
421 KS기준(강모다발 유지력)을 충족하지 못한 마이비 유아 칫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2 2017.06.01
420 사고 잦던 졸음쉼터 진·출입로 길이 늘려 안전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7.05.31
419 어린이 기호식품 등의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7 2017.05.29
418 50대 이상, 연령 높을수록 폐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5 2017.05.29
417 연안 안전사고 주의, 6~8월 가장 많이 발생(39%)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8 2017.05.26
416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1 2017.05.25
415 이른 더위에도 식중독 없이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1 2017.05.23
414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 환자 발생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7 2017.05.22
413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 사전대비 철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17.05.22
412 2017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1 2017.05.22
411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 대부분 가정에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7 2017.05.19
410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4 2017.05.19
Board Pagination Prev 1 ...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