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이 110으로 보다 신속 정확하게 정부민원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올해부터 정부 부처 민원콜센터 시스템 통합을 추진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국민권익위)는 국민 누구나 소관기관에 상관없이 110 전화 한 번으로 정부민원 상담이 가능(원콜-원스톱)하도록 범정부 인공지능 기반 통합콜센터 상담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재 공공기관은 전화민원 상담을 위해 개별적으로 다양한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예산 낭비와 비효율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또 민원상담 과정에서 소관기관으로 전화를 넘기는 경우 대기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화가 끊기거나 상담내용을 다시 설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국민권익위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4월부터 96개 공공기관의 콜센터 시스템을 통합하는 범정부 인공지능 기반 통합콜센터 구축사업(이하 구축사업)’을 진행해 왔다.

 

올해 1단계 사업에서는 정부부처 공동활용 기본모델을 구축하고, ’242단계 구축에서 17개 기관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후 96개 공공기관 콜센터를 통합하는 3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콜센터 통합시스템을 공동으로 활용하게 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상담처리가 가능해져 국민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구축사업은 기존의 기관별 독립된 서버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민간클라우드기반 기술을 활용한다. 민간클라우드를 활용하면 민원인이 다른 기관의 상담사와 재상담이 필요한 경우 최초 상담정보가 공유돼 상담내용을 다시 설명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인공지능으로 국민의 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상담을 할 수 있는 ‘AI어드바이저기능을 탑재하고, 상담내용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의 요구사항을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정부혁신을 촉진해 나갈 예정이다.

 

앞서 국민권익위는 이번 달 17일 관계기관이 참석하는 구축사업 중간보고회와 워크샵을 개최하고 사업추진 경과, 향후 통합콜센터 구축 방향 등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국민권익위 허재우 정부합동민원센터장은 이제 콜센터 업무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활용해 대국민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할 때이다.”라며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3-08-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90 초·중학교 입학생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9 31
11089 정부, 2월 가뭄 예·경보 및 국가가뭄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9 31
11088 주민이 직접 조례 제·개정 청구,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28
11087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고온에서 사용 시 충전속도 최대 2.8배 느려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11086 한국 궐련 흡연자 더 자주, 더 많이, 더 빠르게 흡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9
11085 내일부터 방역지침 관련 시설 관리·운영자 처분부담 완화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11084 무등록.무신고 식품은 구매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11083 치아미백제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45
11082 4월부터 아동수당 지급 연령 확대, 사전신청 및 자료 정비 기간(2.9.~3.31.)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11081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2.8.)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11080 「주택법 시행령」·「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6
11079 철도예매 앱(코레일톡)으로 버스노선·환승정보까지 한 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52
11078 식기세척기 세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3
11077 상조 소비자 피해보상 절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4
11076 친환경 제품 광고 모니터링 결과, 절반이 환경성 인증마크 사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1
Board Pagination Prev 1 ...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