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소비자원은 브랜드 미상 스탬프잉크패드 완구 제품이 CMIT(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 및 폼알데하이드를 과다 함유(측정치: 각각 29.3mg/kg, 40.3mg/kg, 509mg/kg)하여 해외에서 리콜되고 있다는 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됨에 따라 국내 유통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 동일한 제품이 게시·판매되고 있어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판매차단 등의 조치를 권고하였으며, 이에 해당 사업자는 제품의 판매를 차단(2023.7.18.기준)하였다.
 

< CMIT/MIT 및 폼알데하이드 과다 함유한 스탬프잉크패드 완구 판매차단 안내 >
1. 대상 제품
- 제품 상세 정보
 
브랜드미상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b04077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7pixel, 세로 38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b0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1pixel, 세로 187pixel
※이미지 출처 : EC
(https://ec.europa.eu/safety-gate-alerts)
제품명미상
원산지중국
바코드7329822188
Safety Gate 주의보 번호A12/01397/23

2. 조치 사유
- 해당 제품은 CMIT(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 및 폼알데하이드를 과다 함유(측정치: 각각 29.3mg/kg, 40.3mg/kg, 509mg/kg)하여 프랑스에서 리콜됨.

3. 기 조치 사항
- 해당 제품을 취급한 오픈마켓 및 해외구매대행업체에 판매차단 조치
※ 해당 제품의 수입사는 확인되지 않음.
 
4. 소비자 유의사항 및 조치 방법
- 해당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는 즉시 사용을 중지할 것
- 수입·판매사가 확인될 경우에는 연락을 통해 교환, 환급 등의 조치를 받을 것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위해정보알림/위해정보 처리속보 2023-08-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09 전자레인지로 컵라면 조리 시, 은박뚜껑은 완전히 떼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02
3508 전자랜드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13
3507 전자담배 배터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2.27
3506 전자담배 니코틴 오·남용 우려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83 2015.05.19
3505 전원 작동 고장으로 부상 위험 있는 Warn 차량용 윈치 리모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23.04.04
3504 전압조정기 고장으로 화재 위험성 있는 잔디깎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21
3503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Neoprosone 피부 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3.12.13
3502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Hado Labo 폼클렌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2.13
3501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FEG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12.19
3500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리콜된 Hado Labo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1.20
3499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Esapharma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1.20
3498 전문의약품 성분 함유된 Esapharma 스테로이드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07
3497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8.29
3496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9.02.14
3495 전동킥보드, KC마크 확인하고 최고속도 25km/h 이하 제품 구입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8.12.11
3494 전동킥보드 화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08.24
3493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9.28
3492 전동킥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0.12.21
3491 전동킥보드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은 전 제품 문제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10.22
3490 전도 위험이 있는 서랍장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4 2017.04.07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