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최근 3(’20~’22) 동안 보고 화장품 유해사례*   3,061 안전성 정보 분석한 결과가려움  경미한 사항 대부분이었으며 중대한 유해사례**는 없었습니다.

 

화장품 사용 중 발생한 의도하지 않은 징후증상 또는 질병을 말하며반드시 화장품과 인과관계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님

** 사망중대한 불구선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등 생명에 위협을 일으키는 사례

 

안전성 정보는 기초화장품에서 가장 많이 보고

 

최근 3년간 안전성 보고 건수는 ’20 988’21 909’22 1,164으로 나타났으며화장품책임판매업자 * 화장품 생산 품목 수** 증가함에 따라 안전성 보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화장품책임판매업자 수 : (’20) 19,769(’21) 22,716(’22) 28,015

** 화장품 생산 품목 수 : (’20) 120,192(’21) 120,044(’22) 124,004

 

최근 3년간 보고된 안전성 정보 3,061건 중 용기 관련 단순 불만 등 321건을 제외한 2,740 분석한 결과유형별 기초화장용 제품류(1,397, 51.0%), ·유아용 제품류(679, 24.8%)염모제·샴푸·린스 등 두발용 제품류(247, 9.0%) 순으로 안전성 정보가 보고됐습니다.

 

대부분 붉은 반점, 두드러기, 가려움등 경미한 사항

 

최근 3년간 보고된 안전성 정보 분석 결과 주요 증상은 붉은 반점두드러기가려움증 등이었으며대부분 경미한 사항이었습니다.

 

붉은 반점, 부어오름 또는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중지한 이후에도 증상이 계속되면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산실적 대비로는 영·유아용 제품류가 최다

 

·유아용 제품류 3년간 생산실적 평균 0.55%(832억원)임에도 불구하고 3년간 안전성 정보 보고 비율 24.8%(679)로 나타나 ·유아용 제품류 안전성 정보 보고 비율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유아용 제품류에서 보고된 안전성 정보 두드러기가려움발진과 같은 경미한 사항이었으며성인과 비교했을 때 피부가 민감하여 상대적으로 보고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따라서 ·유아에게 화장품 사용한 후에는 피부에서 두드러기 등 발생하는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우 드물지만 ·유아 화장품 먹은 사례 보고되었습니다화장품을 보관할 때는 반드시 ·유아와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참고로식약처는 화장품을 식품으로 오해해 섭취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식품 형태냄새용기포장 등을 모방한 화장품의 판매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 위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두발용 제품 안전성 정보 보고 증가 추세

 

두발용 제품에서는 주로 두피 가려움, 두피 자극, 모발 손상 등이 보고 되었습니다두발용 제품 안전성 정보 보고 비율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화장품 성분 비해 비교적 자극적인 성분(염모제 등) 들어 있거나샴푸·린스 등을 사용 후 충분히 씻지 않아 일부가 남아있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보고 비율 : (’20) 8.5% (’21) 8.8% (’22) 9.7%

 

염모제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하는 패취테스트* 반드시 사용전 실시해서 유해사례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염모제에 부작용이 있는 체질인지 아닌지 조사하는 테스트로써 과거에 아무 이상이 없이 염색한 경우라도 체질의 변화에 따라 알레르기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회 반드시 실시

 

샴푸, 린스 등은 사용 후 충분히 물로 씻어내지 않으면 탈모 또는 탈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충분히 헹구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두발용 제품 중 일부는 눈 자극 등이 보고 되어 있으므로, 사용 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특히목욕 중이나 머리 감은 직후에는 물과 함께 염색약이 눈에 들어갈 우려가 있으므로 염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식약처 안전성 정보 보고 다소 많았던, ·유아용두발용 화장품(염색용 제품 포함) 안전 사용 위한 교육 홍보 실시 계획입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께서 안전하고 올바르게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정보 제공하겠습니다국민께서도 화장품 사용 전 용기·포장에 기재되어 있는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꼭 확인하셔서 화장품 안전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8-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53 접지 연결 미흡하고 감전 우려 있는 Vevor 그라인더 연마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1.16
3852 접지 미흡 등으로 감전, 화재 우려 있는 Vevor 곡물분쇄기(푸드 그라인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16
3851 화재 발생 우려 있는 HONDA 휴대용 발전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3.11.16
3850 감전 위험 있는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1.16
3849 감전 위험이 있는 Tomshine 야외용 스트링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3.11.16
3848 감전 위험 있는 Vevor 진공포장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3.11.16
3847 화재 위험 있는 Classic brands 쿨 젤 메모리폼 매트리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11.16
3846 품질 및 위조품 문제로 리콜된 Vevor 휴대용 공기 압축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16
3845 눈 마사지기 1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1.16
3844 항.필.제.사., 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제대로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1.16
3843 최근 4주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5배 이상 증가, 야외활동 시 진드기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15
3842 “일산화탄소 경보기 준비하고 환기구 확보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1.15
3841 불법 채권추심관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3.11.15
3840 ‘빈대’ 민원, 전주 대비 2.8배 이상 급증…민원예보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1.15
3839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11.13
3838 하도급대금 조정 관련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1.13
3837 금속성 이물 검출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10
3836 추워지는 날씨, 난방기구 사용 시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11.09
3835 수험생·학부모를 현혹하는 식품·의약품 온라인 부당광고·불법판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11.09
3834 온라인 해외직구 의약품은 안전과 효과를 담보할 수 없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11.08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