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금연, 절주, 걷기 3가지 건강생활 모두 실천하는 성인 증가

- 질병관리본부『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주요결과 발표 -
- 금연, 한 번의 술자리에서 1~2잔 이내, 주 5일 매일 30분 이상 걷기 실천 제안 -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주요결과를 발표했다.
*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254개 시·군·구(보건소)와 함께 시·군·구별 평균 9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매년 조사하는 지역단위 건강조사임
(2015년 조사는 8월 31일부터 11월 8일까지 실시, 총 229,691명 참여)

□ 금연, 절주, 걷기의 3가지 건강생활을 모두 실천하고 있는 성인은 31.6%로 ‘14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붙임1 참조)

ㅇ (추이) 조사가 시작된 ’08년(35.2%)부터 ‘14년(29.6%)까지 최근 7년간 감소했으나, ’15년 31.6%로 ’14년 대비 2%p 증가하였다.

ㅇ (연령) 30대(26.4%), 40대(26.2%)의 건강생활실천율이 다른 연령층보다 낮아, 30~40대의 건강행태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지역) 시·도별로는 서울(41.1%), 대전(38.1%), 대구(34.1%)에 비해 제주(20.5%), 강원(21.8%), 경북(21.9%)은 절반 수준이었다.

* 건강생활실천율 : 현재 금연,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하는 성인의 분율
* 현재금연 : 평생 흡연해 본적이 없거나, 과거 흡연하였더라도 현재 금연하고 있는 사람
* 절주 : 비음주자이거나, 최근 1년 동안 술을 마시는 사람이라도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는 7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을 주2회 이상 마시지 않는 사람
* 걷기실천 : 최근 1주일 동안 1일 30분 이상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


□ 흡연과 음주를 모두 하는 성인의 분율은 17.0%로 ’14년(18.4%) 대비 1.4%p 감소하였다.


ㅇ (추이) 흡연과 음주를 모두 하는 성인은 ’08년(20.3%)부터 ’15년(17.0%)까지 최근 8년간 3.3%p 감소했다.

ㅇ (연령) 흡연과 음주를 모두 하는 성인은 ‘15년 30대 22.5%, 40대 22.0%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ㅇ (성별) 남자는 ’08년(38.9%)부터 ’15년(32.1%)까지 최근 8년간 6.8%p 감소하였으나, 3명 중 1명은 여전히 흡연과 음주를 모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과 음주를 모두 하는 성인의 분율(2008-2015)>

* 흡연과 음주를 모두 하는 사람: 현재 담배를 매일 피우거나 가끔 피우고 있고, 최근 1년 동안 1달에 1회 이상 음주한 적이 있는 사람

□ 주요 건강행태(남자 현재흡연, 음주, 걷기)의 지역적 분포는 아래와 같았다.

ㅇ 성인 남자 현재흡연율은 ’15년 기준 세종(34.6%), 서울(37.4%), 광주(37.6%)가 낮았으며, 강원(44.7%), 경북(43.9%), 인천(43.1%)이 높았다.

- 남자 현재흡연율은 ’08년 대비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였다. 시·군·구의 경우 254개 중 212개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ㅇ 고위험음주율은 ’15년 기준 세종(14.5%), 대구(16.4%), 광주(16.5%)가 낮았으며, 강원(23.0%), 경남(20.2%), 충북(19.8%)이 높았다.

- 고위험음주율은 ’08년 대비 7개 시·도에서 감소하였다. 시·군·구의 경우 ’08년 대비 254개 중 116개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ㅇ 걷기실천율은 ’15년 기준 서울(57.5%), 대전(52.9%), 대구(47.2%)가 높았으며, 제주(28.3%), 경북(32.5%), 세종(33.5%)이 낮았다.

- 걷기실천율은 ’08년 대비 4개 시·도에서 증가하였다. 시·군·구의 경우 ’08년 대비 254개 중 67개 지역에서 증가하였다.
□ 각 지자체는 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ㅇ 지역사회건강조사는 통합 건강증진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산하여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등에 활용되고 있다.

ㅇ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보고대회’(‘15. 4.28~29)에서 우수활용 사례로 대구광역시, 충북 청주시 상당구, 경기도 가평군, 경남 남해군, 서울 중구, 강원 고성군, 대전 유성구, 광주 남구, 충남 부여군이 선정되었다.

□ 질병관리본부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모든 국민이 자신의 건강생활실천 정도를 돌아보고, 합격점을 받을 수 있도록 실천할 것을 권고하였다.

ㅇ 현재 흡연하고 있는지, 음주 횟수와 양은 얼마인지, 1주일간 얼마나 걷는지를 스스로 살펴보고,
ㅇ 반드시 금연하고 한 번의 술자리에서 1~2잔 이내로, 매일 30분 이상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하도록 제안하였다.

□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는 일반 국민들에게 공개되고 있으며, 지역사회건강조사 홈페이지(http://chs.cdc.go.kr)를 통해 자료를 신청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2016-05-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51 금감원, 온라인 결제서비스 '삼성페이' 보안성심의 완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4 132
8950 금감원, 자금세탁방지 점검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95
8949 금감원, 카드사의 취약계층에 대한 무분별한 압류관행 근절시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8 121
8948 금감원,「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직적이고 지능적인 자동차보험사기 대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8 42
8947 금감원,서울시,6개 주요은행, 손잡고 금융사기 예방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41
8946 금감원-경찰청 '금융사기 근절' 협력 성과 및 향후 대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7 80
8945 금감원-대부금융협회, 무등록 대부업체 발 못 붙이게 대출중개사이트 개선키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93
8944 금감원-영화 '함정' 보이스피싱 예방 공동 캠페인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0 137
8943 금감원을 사칭하는 가짜 이메일 피싱(Email-phishing)에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2 63
8942 금감원이 적발한 허위-과다입원 나이롱 환자 분석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4 132
8941 금년 12월 4일부터는 '통합연금포털'에서 우체국 연금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4 104
8940 금년 6월 22일부터 여권 분실신고 즉시 여권 효력 상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0
8939 금년 7월, 틀니, 치과임플란트 만 70세 이상으로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2 83
8938 금년 상반기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전년 대비 65.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1
8937 금년 여름부터 안전기준을 적용한 전기 모기채 구매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30 61
Board Pagination Prev 1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