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주요 내용 -


○ 전체 항체양성률(백신면역+자연감염)은 99.2%,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78.6%

○ 지역사회 미확진 감염률은 19.1%로 2차 조사 결과(18.5%)와 유사

○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5~9세)에서 가장 높았으며(94.1%), 연령이 높아 질수록 낮아짐(65세  이상  68.8%)

○ 50세 이상 연령층에서 자연감염 항체양성률 및 미확진 감염률이 증가됨

○ 코로나19 항체가는 백신 면역군(2회 이상 접종자) 및 복합 면역군(백신면역+자연감염)의 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항체가가 감소되기에 고령층 등 고위험군은 추가 접종 필요

○ 백신 미접종자는 단가백신접종자에 비해 2.02배, 2가 백신 접종자에 비해 3.1배 높은 재감염 위험이 있음이 확인됨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한국역학회(과제 책임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동현) 및 지역사회 관계기관*과 함께 진행한 「지역사회 기반 대표 표본 코로나19 항체양성률 3차 조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 전국 17개 시·도 및 258개 시·군·구 보건소, 131개 협력의료기관 


  이번 조사는 2023년 3월 27일부터 4월 15일까지 전국 17개 시·도 5세 이상 주민 9,79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항체검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이다.


  대상자 9,798명의 전체 항체양성률(자연감염+백신면역 모두 포함)은 99.2%로 2차 조사 결과인 98.6%와 유사하였으나,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78.6%로 2차 조사 결과인 70% 보다 8.6%p 증가하였다. 다만, 지역사회 미확진 감염률은 19.1%로 2차 조사 결과인 18.5%와 유사하였다.


  연령별 항체양성률 분석 결과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5~9세)에서 가장 높았으며(94.1%), 연령이 높아 질수록 낮아졌다(65세 이상 68.8%).


  다만, 50세 이상 고령층의 자연감염 항체양성률 및 미확진 감염률이 2차 조사 대비 증가하였는데, 50세 이상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50-64세 77.0%로 2차 조사 대비 10.2%p 증가하였으며, 65세 이상 68.8%로 2차 조사 대비 11.3%p 증가하였다. 미확진 감염률은 50-64세 30.7%로 2차 조사 대비 3.8%p 증가하였으며, 65세 이상 21.1%로 2차 조사 대비 3.7%p 증가하였다.


  우리 사회는 지속적인 백신 접종과 감염 등의 이유로 코로나19에 대한 전체 항체양성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오미크론 유행 이후 중증화율 및 치명률이 낮아진 요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코로나19에 대한 위험도는 `23년 1월부터 낮은 상황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코로나19에 대한 항체가는 백신 면역군(2회 이상 접종자), 복합 면역군(백신면역+자연감염) 모두 접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이번 조사 대상자 중 백신접종력과 코로나19 감염력 등 기초정보가 확인된 7,430명의 코로나19 감염률은 59.3%였다. 이중 2회 이상 감염된 사람은 5.6%였다(`23.4.15. 기준).


  백신접종과 재감염의 관계를 연령표준화로 분석한 결과 백신 미접종자는 단가백신접종자에 비해 2.02배, 2가 백신 접종자에 비해 3.1배 높은 재감염 위험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는 인구통계학적 표본설계에 의해 전국 17개 시·도에서 대상자를 무작위로 선정한 대규모 실태조사이기에 전국단위의 대표성을 갖춘 국가 통계로,  현재 우리나라는 백신 접종자 및 감염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역 내 재감염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백신 미접종자에서 상대적으로 감염 위험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조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에 따르면, 복합면역군(백신면역 +자연감염)의 면역 지속이 백신 면역군, 백신 미접종 자연감염군 보다 오래 유지되고 있으며, 재감염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다. 


  다만, 시간이 흐르면 복합면역군을 포함한 모든 집단에서 면역 감소가 일어나기에 재감염의 위험 은 여전히 상존하며, 중증화 예방을 위해 고령층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주의와 하반기 백신 추가접종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지영미 청장은 이번 코로나19 항체양성률 3차 조사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해주신 17개 시·도 지자체, 보건소 및 협력의료기관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였으며, “향후 국내 코로나19 유행주의 영향 및 백신의 효과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8-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05 청년·신혼부부라면 ‘23년도 제2차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2 17
10504 무인카페.편의점 등 위생점검 결과…12곳 적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2 17
10503 질병청, 의료방사선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7 17
10502 편의점 도시락, 고기·반찬 양 제품별로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7
10501 생활안정자금 융자 제출서류, 대폭 ‘다이어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10500 해외직구식품 구매 시 국내 반입차단 원료.성분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10499 ‘전기요금복지할인’, ‘근로자생활안정자금융자’신청 종이 서류 없이 공공 마이데이터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10498 종이 증명서 제출 없이, 간편하게 보험·증권·통신 서비스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6 17
10497 벌금형 집행유예 관련 결격사유 기준 명확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8 17
10496 2자녀 가구 영유아도 연령제한 없이 어린이집 이용 우선순위 부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8 17
10495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8 17
10494 르노·혼다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9 17
10493 여름철, 온라인 부당광고.불법유통 주의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17
10492 ‘23년 6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17
10491 방문 요양보호사에 신분증형 녹음장비 보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17
Board Pagination Prev 1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