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8년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지정, 2019년부터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대상 질환으로 추가


- 유전자 변이로 발생, 치아 변색 후 급속도로 치아 마모가 진행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희귀질환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알 권리 증진을 위해, 매년 상·하반기로 희귀질환에 대해 안내하고 있으며, 올해 8월에는 ‘불완전상아질형성’에 대해 안내한다고 밝혔다.

  * (’23년 상반기) 유전성 신장 희귀질환 ‘지텔만 증후군’ 안내(3.22.)


  불완전상아질형성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유전자(DSPP, COL1A1, COL1A2 등)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희귀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반투명하고 청회색 또는 황갈색으로 변색된 치아를 특징으로 하며, 치아가 정상보다 약하여 마모에 취약하고 치아 깨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때때로 치아 끝부분(법랑질)의 깨짐(결함)이 동반될 수 있다.


  불완전상아질형성은 과거병력, 임상증상 및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용 X-ray를 통해 진단하며, 혈액검사를 통해 유전적 돌연변이 여부 검사도 진행한다.


  치료는 연령, 질환의 중증도, 환자가 느끼는 증상에 따라 달라지며, 치과용 충전재인 레진 수복재, 치아의 변색을 해결하기 위한 베니어 및 크라운 등을 사용한다. 만약 치아의 대부분이 소실된 경우 의치 또는 임플란트가 필요할 수 있으며, 불소의 적절한 사용과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수다.


  불완전상아질형성은 2018년 「희귀질환관리법령」에 따른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부터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대상 질환으로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희귀질환자는 ‘건강보험 산정 특례’ 적용을 통해 본인일부부담금 감면(90%) 받을 수 있으며, 저소득 건강보험가입자*의 경우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을 통해 본인일부 부담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붙임 2 참고)

  * 지원기준 : 기준중위소득 120% 미만 (소아청소년은 기준중위소득 130% 미만)

 **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 또는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http://helpline.kdca.go.kr)을 통해 의료비 지원 신청 가능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을 통해 희귀질환별 정보 제공 및 상담, 각종 지원 사업 등을 안내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희귀질환은 환자 수가 적어 희소한 만큼, 질환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취약하여, 희귀질환자·가족이 느끼는 불안은 더 크므로 국가 주도의 신뢰성 있는 정보제공은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희귀질환자·가족 이외에 일반 국민들도 희귀질환에 대해서 알고,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인식 개선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8-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48 폭염 속 야외‧이동노동자의 안전을 지키는「여름나기 물 나눔 캠페인」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1 19
12847 LG전자 휘센 제습기 물통, 파손 우려로 무상교체 확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1 15
12846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1 19
12845 ☎110 전화 한 번으로 정부민원 상담 신속 정확하게 해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1 11
12844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지방세법」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42
12843 전국 민방위 훈련, 적극적인 동참이 나의 안전을 지키는 지름길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20
12842 국립공원 생태체험, 장애인도 불편함 없이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24
12841 재판매(리셀) 플랫폼, 이용자의 20.5%가 불만·피해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6
12840 23년 2분기 주요 민원분쟁사례 및 분쟁해결기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2
12839 주택청약저축 보유 혜택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7
12838 기아·현대·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2
12837 수업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수업 방해 제지 등 교권 확립.학습권 보호를 위한 지침, 2학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1
12836 2023학년도 2학기 2차 국가장학금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5
12835 무료로 쉽게 듣는 ‘직장 내 갈등’(고용차별, 괴롭힘) 예방 교육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19
12834 주민조례청구, 3개월 내 수리여부 결정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6 17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