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8년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지정, 2019년부터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대상 질환으로 추가


- 유전자 변이로 발생, 치아 변색 후 급속도로 치아 마모가 진행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희귀질환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알 권리 증진을 위해, 매년 상·하반기로 희귀질환에 대해 안내하고 있으며, 올해 8월에는 ‘불완전상아질형성’에 대해 안내한다고 밝혔다.

  * (’23년 상반기) 유전성 신장 희귀질환 ‘지텔만 증후군’ 안내(3.22.)


  불완전상아질형성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유전자(DSPP, COL1A1, COL1A2 등)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희귀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반투명하고 청회색 또는 황갈색으로 변색된 치아를 특징으로 하며, 치아가 정상보다 약하여 마모에 취약하고 치아 깨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때때로 치아 끝부분(법랑질)의 깨짐(결함)이 동반될 수 있다.


  불완전상아질형성은 과거병력, 임상증상 및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용 X-ray를 통해 진단하며, 혈액검사를 통해 유전적 돌연변이 여부 검사도 진행한다.


  치료는 연령, 질환의 중증도, 환자가 느끼는 증상에 따라 달라지며, 치과용 충전재인 레진 수복재, 치아의 변색을 해결하기 위한 베니어 및 크라운 등을 사용한다. 만약 치아의 대부분이 소실된 경우 의치 또는 임플란트가 필요할 수 있으며, 불소의 적절한 사용과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수다.


  불완전상아질형성은 2018년 「희귀질환관리법령」에 따른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부터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대상 질환으로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희귀질환자는 ‘건강보험 산정 특례’ 적용을 통해 본인일부부담금 감면(90%) 받을 수 있으며, 저소득 건강보험가입자*의 경우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을 통해 본인일부 부담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붙임 2 참고)

  * 지원기준 : 기준중위소득 120% 미만 (소아청소년은 기준중위소득 130% 미만)

 **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 또는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http://helpline.kdca.go.kr)을 통해 의료비 지원 신청 가능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을 통해 희귀질환별 정보 제공 및 상담, 각종 지원 사업 등을 안내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희귀질환은 환자 수가 적어 희소한 만큼, 질환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취약하여, 희귀질환자·가족이 느끼는 불안은 더 크므로 국가 주도의 신뢰성 있는 정보제공은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희귀질환자·가족 이외에 일반 국민들도 희귀질환에 대해서 알고,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인식 개선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8-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90 “2019 한여름 밤 과학관은 살아있다” 야간 행사 개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5 10
12889 카드번호 도난사건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6 10
12888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100일간 200,139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9 10
12887 해외여행은 즐겁게, 망고 등 생과일은 가져오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5 10
12886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의 등록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7 10
12885 노후주택, 연금으로 바꿔드려요…9일부터 주택 매입공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10
12884 저소득층 위한 통합문화이용권, 사용가능품목 확대되고 운영관리 강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3 10
12883 출입허용 안 된 외부인 수술실 출입 제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9 10
12882 프로스포츠 굿즈 어린이용 모자,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2 10
12881 2020년 국가공무원 충원계획 정부(안) 확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5 10
12880 추석명절에 유용한 공공서비스「정부24」에서 한번에 확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0 10
12879 코팅 벗겨진 프라이팬 새 제품으로 교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9 10
12878 안전과 영양를 고루 갖춘 품질인증 어린이 기호식품을 소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3 10
12877 산재환자에 대한 화상 치료 전국적 진료망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0
12876 사업 계속 의사 있어도 사실상 폐업상태라면 도산한 것으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0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