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장관감염증 신고환자 수 6월 초 대비 약 2배 증가

 - 식당 및 집단급식소 등 다수에게 음식물을 제공하는 시설 각별한 주의 필요

 - 안전한 여름나기 위해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과 조리위생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온도와 습도가 높은 하절기에 세균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장관감염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개인위생 및 음식물 조리 시 위생 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질병관리청에서 운영 중인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신고환자 수가 지난 6월 초(23주, 6.4.~6.10.) 대비 약 2배 증가하였으며, 최근 3주간 주당 500명 이상의 높은 환자수가 신고 되고 있다(붙임 1-1 참고).

  * 20종의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원충) 감염에 의한 위장관증상(설사, 복통 등)을 특징으로 하며,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전국 208개 의료기관이 표본감시 참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주요 장관감염증은 캄필로박터균, 살모넬라균, 장병원성 대장균 감염증이며, 특히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29주에 전 주 대비 약 63.3% (128명→ 209명)증가하였다(붙임 1-2 참고).



  캄필로박터균은 비살균 유제품과 가금류, 살모넬라균은 계란, 우유, 육류 및 가공품, 장병원성대장균은 익히지 않은 육류 및 채소가 주요 감염원으로, 이들 식품의 보관, 손질, 조리 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캄필로박터균은 생닭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어, 이를 만진 이후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손을 씻어야 한다. 보관 시에는 생닭 표면의 물이 흘러 다른 식재료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하단에 보관하고, 식재료 세척 시 가장 마지막에 하되, 씻는 물이 튀어 다른 식재료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살모넬라균은 닭의 체내에 존재할 수 있는 균으로, 산란을 통해 계란을 오염시키거나 껍질 표면에 존재할 수 있어 계란을 만진 이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계란을 구입하여 냉장보관하되, 껍질을 깬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한다.

  또한 장병원성대장균은 도축 과정 중에서 육류를 오염시키거나, 덜 숙성된 퇴비 또는 오염된 물로 채소를 오염시킬 수 있어, 여름철에는 생으로 섭취하는 것을 자제하고,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


  장관감염증은 여름철 식당과 집단급식소와 같이 여러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시설에서는 특히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당이나 집단급식소에서는 장관감염증 집단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식품별(생선, 육류, 채소 등)로 조리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위생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가정에서도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음식은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하여 섭취하면 장관감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



< 장관감염증 예방수칙 >

 1.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등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2. 물은 끓여 마시고, 끓일 수 없을 때는 생수 등 병에 포장된 음료수 마시기

 3. 음식 충분히 익혀먹기 (중심온도 75℃(특히, 어패류는 85℃)로 1분 이상 익혀먹기)

 4.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5.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6. 소독, 생선, 고기, 채소 도마는 분리 사용하고, 칼, 도마는 조리 후 소독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여름철에는 오염된 물과 식품을 통한 장관 감염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으며, 설사 등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예방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8-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11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Shan Bihari Kabab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12.20
3810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10M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1.25
3809 ‘광고 없는 유튜브’ 계정공유 서비스 피해 급증… 이용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3.08
3808 최근 일부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우려 및 절판마케팅 등 과당경쟁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3.18
3807 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아 익사 위험 있는 NEWAO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3.21
3806 연결나사 파손으로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킥보드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1
3805 여행수요 늘면서 항공 운항 취소·변경에 따른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18
3804 가전제품 쇼핑몰 NATUR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7.28
3803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27
3802 잠금핀 풀림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는 Little Tikes 유아용 보행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28
3801 라벨 미표기된 성분(우유, 밀, 콩) 함유한 Lay’s 감자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30
3800 가을철 야외작업자 “진드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10.31
3799 교차오염으로 알러지 유발할 수 있는 Sheila G’s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5.12
3798 하수(下水) 속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알아본 최근 유행상황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6.15
3797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12
3796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25
379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Everest Masala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8.17
3794 추석 명절 벌초 시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8.31
3793 석면이 포함되어 폐암 위험 있는 BRS 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9.06
3792 플러그 설계 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건습식 진공청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