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약처, 치매치료제 제품화 규제지원

   - ‘치매치료제 국가 R&D 제품화 규제지원 간담회’ 개최

 

   - 치매치료제 연구 개발자와 관계부처(식약처, 복지부)가 긴밀히 협력

 

   - 식약처, ‘맞춤형 상담(With-U)’ 적극 활용…치매치료제 개발 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정부지원하는 치매치료제 연구가 제품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과 ‘치매치료제 국가 R&D 제품화 규제지원 간담회’8월 7일 서울스퀘어 회의실(서울 중구 소재)에서 개최합니다.

 

 치매치료제 연구 개발자, 관계부처(식약처, 복지부)가 참여하는 이번 간담회 주요 내용식약처제품화 지원을 위한 상담체계 소개, 의약품 허가 절차 안내, 치매치료제 연구·개발 시 애로·건의 사항 청취, 치매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관계부처규제지원 방안 논의, 과제별 1:1 맞춤형 상담 제공 등입니다.

 

 참고로 식약처는 국산 신기술이 혁신제품이 되어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내 규제글로벌 스탠다드화하는 동시에, R&D 코디, 맞춤형 상담(With-U), 규제 전문가 밀착 상담, 글로벌 기준 우선 적용, 신속심사 등을 제공하는 브리지(BRIDGE) 프로젝트추진하고 있습니다.

 

 식약처는 이번 치매치료제 개발지원하기 위하여 연구기획 단계부터 제품분류, 개발 전략, 임상시험계획 승인 등에 대해 사업단을 직접 찾아가 컨설팅하는 ‘맞춤형 상담(With-U)적극 제공할 계획입니다.

 

 식약처는 이번 간담회가 치매치료제 개발 시 시행착오줄이고 신속하게 제품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규제과학 전문성바탕으로 신기술 혁신제품신속하게 제품화될 수 있도록 최선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0pixel, 세로 1125pixel

 

<붙임>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제품화 규제지원 간담회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8-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90 일회용 폴리스티렌(PS) 용기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105
10489 일회용 종이컵.물수건 등 위생용품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5 66
10488 일회용 종이컵.나무젓가락.물수건 등 관리 사각지대 해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62
10487 일회용 점안제, 한 번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31 9
10486 일회용 성인 기저귀, 소변량에 따라 제품선택 달라져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270
10485 일하는 청소년의 권리, "청소년 근로권익센터"가 보호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9 74
10484 일하는 청년들의 주거안정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9
10483 일하는 저소득층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모집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67
10482 일하는 저소득 노인 및 장애인 최대 14만 원 생계급여 추가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21
10481 일하는 사람 모두 고용.산재보험 가입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9 12
10480 일하는 기초생활수급 청년에게 월40만원씩 저축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9 87
10479 일터에서 생긴 트라우마, 전문심리상담 무료로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6 29
10478 일체형 차량 내비게이션, 보상기간 길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19
10477 일자리행정통계를 통해 본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9
10476 일자리창출, 근로자 권익보호 등 위해 지방계약제도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7 63
Board Pagination Prev 1 ...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