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은 일상 회복 후 첫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바다나 강에서 서핑·수상스키 등의 수상레저 활동을 즐기는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2022년 수상레저 안전사고 전년 대비 약 35% 증가

최근 3년간(2020~2022)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수상레저 관련 안전사고는 총 166*으로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약 35% 증가한 66건이 접수됐다.

* 연도별 접수건수(증감률) : 202051202149(3.9%) 202266(34.7%)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수상레저 관련 안전사고, 주로 여름철’, ‘20~40에 집중

수상레저 관련 안전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시기별로는 여름에 해당하는 ‘6~842.8%(71)로 가장 많았고, 가을인 ‘9~1133.2%(55)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2044.6%(70), ‘3026.7%(42), ‘4010.8%(17)로 나타나는 등 대부분(82.2%)  ‘20~40에서 발생했다.

 서프보드사고가 가장 많았고, ‘머리 및 얼굴등의 찢어짐 사고 많아

수상레저기구별로는 서프보드59.0%(9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수상스키’ 9.7%(16), ‘웨이크보드’ 4.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구별 사고유형을 분석한 결과, ‘서프보드의 경우 서핑 중 넘어지면서 서프보드에 부딪히는 사고가 대부분(80.6%)이었고, ‘수상스키는 이용 중 견인하는 보트나 장비 등에 부딪혀 다치는 사고가 절반(50.0%)을 차지하는 등 물리적 충격에 의한 사고가 많아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위해부위별로는 머리 및 얼굴40.4%(67)로 가장 많았고, 이어 둔부, 다리 및 발20.5%(34), ‘팔 및 손’ 16.9%(28)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은 열상(찢어짐)’ 사고가 34.9%(58)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골절’ 21.7%(36), ‘타박상 15.7%(26)등의 순으로 많았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구명조끼등 안전장비 착용해야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라 수상레저활동자는 구명조끼보드 리쉬* 등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사고 사례를 보면 머리를 부딪힌 후 뇌진탕이 발생하는 등 중상을 입는 경우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보드 리쉬(Board Leash) : 서프보드 또는 패들보드와 발목을 연결하여 주는 장비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수상레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수상활동 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할 것, 수상활동 전 장비점검을 실시할 것, 수상레저 활동 금지구역을 반드시 지킬 것 등을 당부했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 병원, 18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한국소비자원 2023-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31 캔이 파열되어 부상 위험이 있는 Maggie's Farm 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3.11.21
3830 카페인이 과다 함유되어 있는 Bang 에너지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3.04.10
3829 카트체험장 안전관리 미흡하고 사고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8.08.21
3828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한 은행사칭 피싱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3.04.04
3827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10.24
3826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2.12
3825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3.06.07
3824 카드뮴 최대 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20
3823 카드뮴 및 납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een 팔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1 2022.06.13
3822 카드뮴 기준 초과한 The Witcher Wild Hunt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10.07
3821 카드뮴 과다 함유해 사용자의 건강 위험 있는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7.13
382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뱀모양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22.03.08
381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XHBTS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7 2022.06.13
381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Ushin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9 2022.06.13
3817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Tasnunisa 귀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3 2022.06.14
3816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TANSHOP 목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2.06.13
381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Milacolato 발찌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2 2022.06.14
3814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6.13
3813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LACKINGONE 목걸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6.13
3812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IYOU 허리 체인 장신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2 2022.06.13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