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은 일상 회복 후 첫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바다나 강에서 서핑·수상스키 등의 수상레저 활동을 즐기는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2022년 수상레저 안전사고 전년 대비 약 35% 증가

최근 3년간(2020~2022)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수상레저 관련 안전사고는 총 166*으로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약 35% 증가한 66건이 접수됐다.

* 연도별 접수건수(증감률) : 202051202149(3.9%) 202266(34.7%)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수상레저 관련 안전사고, 주로 여름철’, ‘20~40에 집중

수상레저 관련 안전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시기별로는 여름에 해당하는 ‘6~842.8%(71)로 가장 많았고, 가을인 ‘9~1133.2%(55)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2044.6%(70), ‘3026.7%(42), ‘4010.8%(17)로 나타나는 등 대부분(82.2%)  ‘20~40에서 발생했다.

 서프보드사고가 가장 많았고, ‘머리 및 얼굴등의 찢어짐 사고 많아

수상레저기구별로는 서프보드59.0%(9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수상스키’ 9.7%(16), ‘웨이크보드’ 4.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구별 사고유형을 분석한 결과, ‘서프보드의 경우 서핑 중 넘어지면서 서프보드에 부딪히는 사고가 대부분(80.6%)이었고, ‘수상스키는 이용 중 견인하는 보트나 장비 등에 부딪혀 다치는 사고가 절반(50.0%)을 차지하는 등 물리적 충격에 의한 사고가 많아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위해부위별로는 머리 및 얼굴40.4%(67)로 가장 많았고, 이어 둔부, 다리 및 발20.5%(34), ‘팔 및 손’ 16.9%(28)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은 열상(찢어짐)’ 사고가 34.9%(58)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골절’ 21.7%(36), ‘타박상 15.7%(26)등의 순으로 많았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구명조끼등 안전장비 착용해야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라 수상레저활동자는 구명조끼보드 리쉬* 등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사고 사례를 보면 머리를 부딪힌 후 뇌진탕이 발생하는 등 중상을 입는 경우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보드 리쉬(Board Leash) : 서프보드 또는 패들보드와 발목을 연결하여 주는 장비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수상레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수상활동 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할 것, 수상활동 전 장비점검을 실시할 것, 수상레저 활동 금지구역을 반드시 지킬 것 등을 당부했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 병원, 18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한국소비자원 2023-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09 포름알데히드 검출된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6.08
4008 폐렴간균 검출된 Honeywell 눈 세정제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9 2016.12.07
4007 편의점업계와 힘을 모아 메신저피싱(문자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공동 홍보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1.25
4006 편의점 도시락, 안전기준에 적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4 2016.09.26
4005 편리한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8.07.13
4004 편리한 카셰어링, 더욱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1 2017.09.01
4003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03.21
4002 편리한 전기모기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8.09
4001 페인트 붓 완구 Crea-Play, 니켈 다량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4 2018.07.19
4000 페인트 벗겨지는 (주)한국몬테소리 교육용 교구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128 2015.04.07
3999 페인트 가루 날리는 트램펄린, 자발적 회수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01 2016.07.07
3998 페룰(Ferrule) 부식으로 낙상 위험 있는 Wild Country 클라이밍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4.18
3997 페루 북부 국경지대 툼베스주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08.31
3996 퍼프린젠스 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5.12
3995 팽이버섯 생산업체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3.18
3994 패키지 해외여행 내 레저·체험활동 및 이동수단 안전관리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11.28
3993 패류독소 조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5 2017.03.21
3992 패류독소 조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5 2017.03.06
3991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거제시 연안 일부 해역 패류독소 기준치 초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91 2016.03.25
3990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거제시 연안 일부 해역 패류독소 기준이하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4 2016.03.17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