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범정부 전세사기 특별단속 기간 금년 말까지 연장된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대검찰청(총장 이원석)경찰청(청장 윤희근)은 지난 1전세사기 대응 협의회를 개최(1.18)하여 긴밀한 수사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범정부 특별단속을 시행하는 등 전세사기 범죄에 신속철저하게 대응해왔으며, 특별단속 기간추가 연장하여 전세사기 범죄를 뿌리뽑기로 협의하였다고 밝혔다.

 

* 범정부 전세사기 특별단속 1’22.7.25.~'23.1.24./2’23.1.25.~7.24.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근절을 위한 범정부 특별단속 기간('22.7~'23.7)국토교통부보유한 정보*를 조사분석하여 검찰청 경찰청공유하는 등 긴밀한 공조를 추진한 결과, 1,538전세사기 의심거래 등에서 조직적 전세사기 정황을 포착하였고, 이에 따라 해당 거래의 전세사기 의심 임대인과 관련자 1,034에 대해 수사를 의뢰하였다.

 

* ’20.1월부터 ’22.12월까지 거래신고가 된 빌라, 오피스텔, 저가 아파트 거래 중 전세사기 의심거래 2,091건을 추출한 자료, 전세피해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상담사례 등

 

경찰청은 특별단속 12개월 간 국토교통부 수사의뢰 등을 토대로 총 1,2493,466검거하고 367구속함으로써, 전국적으로 11,680여채를 보유한 ‘13개 무자본갭투자 조직788억원을 가로챈 ‘21개 전세자금대출조직 등 총 34개 조직을 일망타진하였다.

 

특히 2차 단속에서는 전세사기 조직에 대한 전국적이고 대대적 수사가 이루어졌으며, 1차 단속 대비 각각 검거건수 5.9%(597632), 구속인원 25.9% 상당 증가(158199)하는 한편, 몰수추징보전* 금액(법원 인용 기준)3,040% 증가(5.5172.7)하여 피해 회복에 노력하였다.

 

* 추가로 509억 상당(거래가액) 부동산 등에 대해 범죄수익보전 진행 중(검찰 청구 기준)

 

동기간 대비를 위하여 1'22.7.25~'23.1.16, 2'23.1.25~'23.7.16 기간으로 집계

또한, 이번 2차 단속에서는 불법 전세 관행 타파를 위해 악성임대인 등 4대 유형* 근절을 위하여 노력한 결과, 최초로 전세사기 10개 조직 111명에 대해 범죄단체집단(형법 제114) 규정적용하여 엄단하였다.

 

* 악성임대인 등, 전세자금 대출, 불법중개, 불법감정

 

검찰청은 전국 54개 검찰청에서 71명의 전세사기 전담검사가 수사기소공판을 담당하는 책임수사를 실시하고 있다.

 

ㅇ 「전세사기 전담검사가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한 주요 사건의 심문에 참여하는 등 경찰 수사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신속하게 수사하고 있으며, 경찰에서 송치된 사건을 철저히 보완수사하여 기소하는 한편, 새로운 증거를 확보하여 추가 구속하거나 공범, 여죄를 입건하고 있다.

 

* 서울중앙지검은 전세사기 전담검사가 관련 사건의 모든 ‘‘구속영장 심문에 참여

 

공판 단계에서는 피해회복여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경합범 가중을 통해 법정최고형까지 구형하는 등 죄에 상응하는 형이 선고될 수 있도록 적극 공소유지하고 있다.

 

* 성남지원 징역 15(피해자 110, 피해액 123억 원) / 서울중앙지법 세모녀 사건 징역 10(피해자 85, 피해액 183억 원, 추가 사건 별건 재판 계속 중) 각각 선고

 

국토교통부대검찰청경찰청연장된 특별단속 기간에도 각 기관의 역량총동원하고, ‘형사절차의 전() 과정에서 보다 긴밀하게 협력하여 전세사기 범죄의 근원을 발본색원할 수 있도록 엄정히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2023-07-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09 폭염 피해 예방 위해 7~11일 노인일자리 참여자 실외활동 전면 중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4 16
12808 기능성 표시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은 다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7
12807 폭염 대응, 경로당에 냉방비 10만 원 추가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6
12806 반짝반짝 은빛노후를 위한 금융가이드 영상 제작.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7
12805 일하는 청년들의 주거안정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9
12804 무인매장 판매 식품, 위생관리 개선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6
12803 추석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3 17
12802 8.23.(수)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 전국 실시, 사이렌이 울리면 가까운 민방위 대피소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2 16
12801 2023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2 17
12800 “아줌마”, “이모님” 아닙니다. 가사관리사(관리사님)으로 불러 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2 24
12799 매일 인사는 ‘안녕하세요’ 대신 ‘안전하세요?’ 어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1 17
12798 복잡한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 클릭 몇 번으로 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1 16
12797 휴대전화로 민원답변 공문 받아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1 33
12796 이제 가까운 대학에서 직업훈련을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1 19
12795 고령소비자, 정수기 렌탈계약 시 중요정보 확인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39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